이선희 관련링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약력소개 세필 채색을 주로 하는 한국화가 이선희는 1983년 전남 장흥 출생으로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와 동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2012년 화순 소아르갤러리에서 첫 전시회를 가진 이후 ‘see-through’(2012, 광주 나인갤러리), ‘지나도 좋으리’(2014, 광주 금호갤러리), ‘나만 아는 이야기’(2015, 광주 전남대학교병원 CNUH갤러리), ‘날들’(2015, 광주 로터스갤러리, 지노갤러리), ‘엠파시초대전’(2016, 광주 핀치갤러리카페), ‘지나도 좋으리’(2017, 광주 영산강문화관), '몽중향(夢中香)'(2017, 광주 김냇과갤러리), ‘당신의 계절’(2019, 광주 양림미술관), ‘당신의 계절’(2020, 광주 신세계안과 갤러리), ‘고립낙원’(2023, 광주 아크갤러리), ‘달빛이 머문 자리’(2024, 남원 도보책방)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단체전으로는 [ART FAIR 21 MESSE FUR AKTUELLE KUNST](2010, 독일 퀼른), [화담전](2011, 광주국립박물관), [KOREA ART WEEK](2012, 태국 방콕 갤러리 Artery), [숨](2012, 광주 의재미술관), [두드리다](2013, 광주 신세계갤러리), [한국화 위상전](2013,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국제현대회화교류전](2013, 서울 DMC홍보관갤러리, 뉴욕 Bas갤러리), [윤세영 이선희 2인전 ’잔향‘](2014, 광주 롯데갤러리), [2014 VIVA EXCON VISUAL EXCHANGE KATALISTA](2014, 필리핀 바콜로드), [현시대 작가들의 눈으로 바라보는 도시이야기](2015, 광주 지호갤러리), [아트광주15](2015,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아트광주16](2016,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청춘예찬](2015, 광주 515갤러리), [여수국제아트페스티벌](2017, 여수세계박람회 국제관),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특별전](2017, 목포 예술갤러리), [태국 한국 현대미술전](2017, 방콕 PSG아트갤러리), [무등에 드영이 피어나다](2018, 광주 드영미술관), [한중일 동아시아 문화도시 미술교류전](2018, 중국 취안저우역사박물관), [Failing in Winter’(2018, 광주 롯데갤러리), [아트광주18](2018,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무등을 품은 사람들](2019, 광주문예회관 갤러리), [전통과 형상회전](2019, 광주 무등갤러리), [예술산책2 작가장터](2020,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임대전시](2020,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아! 대한민국 미술인 힘전](2020, 용인 옹기아트센터), [무등을 품다](2021, 광주 시민갤러리), [전국 장애인 비장애인 미술교류전](2021, 광주 금호갤러리), [ACC호텔 기획초대전](2021, 광주 ACC디자인호텔 갤러리), [2021 아트페스티벌](2021,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21 영호남미술교류전](2021, 부안 휘목미술관), [문화예술교류전](2021, 대전 예술인의집 미술관), [아트광주21 라이징스타전](2021,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전통과 형상회전](2022,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예술산책4 아트슈퍼마켓](2022,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호남 한국화 길을 묻다](2022,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여행자의 밤](2022, 전주 도보책방갤러리), [같이&가치](2023, 광주 영무파라드시티), [그대의 세계는 안녕하신가요](2023, 광주 발산마을 역사문화박물관), [한국화의 새로운 모색과 확장](2023, 함평군립미술관), [개관초대전](2024, 신한아트센터), [Nakarai Tosui Art Fest 2024](2024, 대마도), [벳부 마이크로 아티스트 레지던시전](2024, 벳부)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국제풋풋레지던시(2010, 광주 아트스페이스 미테우그로), 의재창작스튜디오 레지던스(2012, 광주 의재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청년예술인센터(2017, 광주), 다오라 작가교환 레지던스(2024, 쓰시마) 등의 입주작가였고, 의재허백련상 특별상(2013), 갤러리지노 작가공모 우수상(2015), 대한민국한국화특장전 우수상(2018), 광주문화예술기부금매칭 지원사업(2023) 등을 수상했다. 현재 조형연구소를 운영하며 창작활동을 펴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이선희의 회화는 대부분 사실성 위주 세필묘법으로 일상 소재의 친근감을 주지만 거기에 추억과 향수와 꿈이 더해지면서 현실인 듯 몽환인 듯 불확실한 시공간으로 이끌어 간다. 그것은 꿈의 세계가 시점도 장소도 공간도 모호한 채 뒤섞이면서 전혀 생각지도 못한 일들이 펼쳐지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현실에서 마주했을 법한 익숙한 인물 모습과 사실적인 묘사를 통로 삼아 서정과 상상이 결합된 몽환의 세계로 이끌어가는 것이다. 어느 때 어느 순간의 기억들을 사실과 아련함을 섞어 몽환적인 세계로 드러내면서 거기에 상상을 유도하는 스토리를 더하는 방식이다.” - 조인호 (미술사), 2017년 이선희 개인전 평문 중 “나는 일상에서 흔히 보여지는 풍경이나 소재들을 모티브로 따와 화폭에 담는다. 이는 현실에 기반을 두면서도 가상의 세계로 흘려보내기 쉬운 현실의 한 장면을 포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정의 편린들이 떠도는 프레임은 정적이고 공허한 화면으로 놔두어 여백으로서의 여운을 남기거나, 혹은 가상의 공간을 의도적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피상적 형체를 통해 그 이면에 존재하는 마음과 그것이 품은 감정들을 시적 정서가 담길 수 있도록 섬세한 붓터치로 그려 나간다. 인물의 움직임보다 그들이 남긴 흔적, 분위기에 집중하여 개별적인 이야기를 우리의 보편적 상황으로 바꿔 놓는다.” - 2022년 이선희 작가노트 중 연락처 010-8616-8806 elfelfd1333@hanmail.net 이선희 <see-through>, 2012, 마직에 분채, 200x135cm이선희 <바람, 어디서 부는가>, 2014, 마직에 분채, 130x162cm이선희 <나무그늘 아래>, 2016, 마직에 분채, 130x162cm이선희 <꽃 속으로 숨다>, 2017, 마직에 분채, 60x146cm이선희 <헛된 시간이 없는 것처럼>, 2017, 마직에 분채, 74x138cm이선희 <꽃그늘>, 2019, 마직에 분채, 80x52cm이선희 <오래된 문>, 2019, 마직에 분채, 162x260cm이선희 <계절이 지나간 자리>, 2019, 마직에 분채, 50x50cm이선희 <선택적 고립>, 2022, 마직에 분채, 52x81c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