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범 > 우리시대의작가들/회화

본문 바로가기

회화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회화

    우리시대의작가들/회화

    임수범

    본문

    약력소개

    서양화가 임수범은 1997년 광주 출생으로 광주예술고등학교를 거쳐 전북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했다.

    2021년 예술공간 집에서 첫 개인전 나와 세계를 만들어 보지 않겠나에 이어 탐험가S, 너는 값진 거짓말을 보았어’(2023, 서울 상업화랑 용산), ‘그건 아마 가장 작은 세상일지 몰라’(2024, 서울 상업화랑 을지로) 전시를 가졌다.

    단체전은 [산수싸리 재개관 기념전-진정성 해방](2021, 광주 산수싸리), [마음의 생태학 II; 말하는 풍경](2022, 광주 신세계갤러리), [분하는 뭉치는 극담하는 무릅쓰는 넘나드는 세우는](2022, 전주 비바아트스페이스), [31회 신예작가초대전](2022, 전주 우진문화공간), [Who is next : 감각있는 MZ세대의 선택으로’](2022, 광주 산수미술관), [마음의 생태학: 말하는 풍경](2022, 광주 신세계갤러리), [붕괴하는 세계를 끌어안기](2022, 광주 스페이스DDF), [점핑토끼- 뛰는 토끼 위에 나는 토끼](2023, 광주 신세계갤러리), [내 취향대로](2023, 서울 백해영갤러리), [신진큐레이터 공모-보물찾기](2023, 광주 롯데갤러리), [무등예찬](2023, 광주 호랑가시나무아트폴리곤), [ABC FESTA 2023](2023, 서울 신사비버리힐스), [착륙지점](2024, 서울 아라리오갤러리), [마이크로 아토포스](2024, 서울 THEO), [NEXT UP](2024, 서울 온수공간), [15회 광주비엔날레 광주파빌리온- 무등, 고요한 긴장](2024, 광주시립미술관)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광주시립미술관 청년예술인지원센터 입주작가(2022)였고, 현재 광주와 서울을 오가며 작품활동 중이다.



    작가의 작품세계

    세계를 살아가기에 인간의 존재는 너무나도 작게 느껴진다. 실제 인간이 우주에서 파악할 수 있는 물질은 5%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의 세계는 그만큼이나 알 수 없는 무언가로 가득 차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불확실한 세계에서 인간의 선택은 또한 불안정한 것이 된다. 작품을 통해 불확실한 미래의 세계를 시각이미지화 한다. 이미지는 중심부와 주변부가 구분되지 않고 사방으로 확장되어가는 불안정한 미래의 세계를 그려낸 드로잉에서 시작해 그 드로잉의 일부분을 캔버스 위에 잘라 붙여 그리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그렇기에 분절된 캔버스 사이에도 끊임없이 확장이 발생한다.”

    - 임수범의 2023년 작가노트 중

     

    임수범의 작업은 인간의 눈과 언어로 포착할 수 없는 그 얼마나 거대함혹은 작음을 한정된 캔버스 안에 묘사해야 하는 역설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이런 문제를 풀어나가며 변형 캔버스와 캔버스 사이의 비공간성을 전제해 전시장의 내부에 무한한 세계를 마련하는 방식을 사용해 왔는데, 더 나아가 이번 신작에서는 대자연계의 형상이 정령화된 신성神聖이 등장하고 있다. 관찰자의 싯선을 대리하여 캔버스의 바깥을 지시하는 그의 시선은 구획된 세계 너머로 끊임없이 확장되는 아토포스를 구축해 나간다. 그렇게 그려지는 무한히 확장되는 풍경(장소)은 마치 초미세 현미경을 통해 들여다본 인간 피부의 표면이 먼 우주의 생태계를 보여주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그것은 무한히 거시적이며 동시에 미시적인 것으로, 그러면서도 생명체가 싹을 틔우고 가지를 뻗어나가며 열매를 맺어가는 순환적 질서의 이미지로 드러난다.”

    - 최하얀 (미술비평)2024년 전시 기획 글 중

     



    연락처
    010-5879-7335

    subum412@gmail.com

    임수범 <만들어진 세계>, 2022, 캔버스에 아크릴, 유채, 162.2x130.3cm
    임수범 <만들어진 세계>, 2022, 캔버스에 아크릴, 유채, 162.2x130.3cm

    임수범 &lt;생태뱅크&gt;. 2022. 캔버스에 아크릴, 유채. 72.7x72.7cm
    임수범 <생태뱅크>. 2022. 캔버스에 아크릴, 유채. 72.7x72.7cm

    임수범 &lt;정적인 변화의 포착&gt;. 2022. 캔버스에 아크릴, 유채. 53x45.5cm
    임수범 <정적인 변화의 포착>. 2022. 캔버스에 아크릴, 유채. 53x45.5cm

    임수범 &lt;공터에서 벌어진 일&gt;, 2022, 캔버스에 아크릴, 193.3x651.5cm
    임수범 <공터에서 벌어진 일>, 2022, 캔버스에 아크릴, 193.3x651.5cm

    임수범 &lt;공터에서 벌어진 일&gt;(부분). 2022. 캔버스에 아크릴, 유채. 193.3x651.5cm
    임수범 <공터에서 벌어진 일>(부분). 2022. 캔버스에 아크릴, 유채. 193.3x651.5cm

    임수범 <버려진 바위공원의 재야생화>, 2023, 캔버스에 아크릴, 162.2x130.3cm
    임수범 <버려진 바위공원의 재야생화>, 2023, 캔버스에 아크릴, 162.2x130.3cm

    2023년 계묘년 신년기획전-토끼전에서 임수범의 출품작
    2023년 계묘년 신년기획전-토끼전에서 임수범의 출품작

    임수범 &lt;버려진 바위공원의 재야생화&gt;(부분), 2023. 캔버스에 아크릴릭, 유채. 162.2x130.3cm 등 7폭 중 일부
    임수범 <버려진 바위공원의 재야생화>(부분), 2023. 캔버스에 아크릴릭, 유채. 162.2x130.3cm 등 7폭 중 일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