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주 > 우리시대의작가들/회화

본문 바로가기

회화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회화

    우리시대의작가들/회화

    최대주

    본문

    약력소개

    시대 풍자와 생태환경 메시지를 주로 담는 화가 최대주는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96년 광주 무등예술관에서 첫 발표전 이후 1999(광주 상계갤러리), ‘고향가는 풍경’(2004, 광주 자미갤러리), ‘투영’(2010, 서울 갤러리 LIGHT), ‘흰눈’(2018, 순천 모긴미술관), ‘백화정령’(2018, 광주과학기술원 도서관갤러리), ‘피안의 숲’(2019, 담양 고서갤러리), ‘하얀 여래’(2019, 광주 전남대학교병원 갤러리), ‘’(2020, 광주 문화예술회관 갤러리), ‘-잠심’(2021, 해남공룡박물관 기획전시실), ‘매체가 된 얼굴’(2022, 광주 금봉미술관) 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48인의 보행전](2008, 곡성 전남도립옥과미술관), [광주청년미술작가전](2008, 광주 시안갤러리), [불휘기픈 300호전-‘-상실 그리고 찾음’](2008, 광주 대동갤러리), [광주 울산 구상작가교류전](2009, 광주 자미갤러리), [시대의 자화상-가족](2009, 광주 전남대학교 용지관), [광주천 환경미술제](2009, 광주천 일원), [한국정예작가초대전](2009, 서울 서울아트센터), [영호남구상미술교류전](2009, 울산문화예술회관), [오월전-벽을 문으로](2009, 광주 옛 전남도청), [청년의 힘-다섯 가지의 생각](2009,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나눔동행](2010, 광주 일곡갤러리), [Seven Colors](2010, 서울 갤러리 라메르), [초록물고기](2010, 광주 빛고을시민문화관), [丙申年 꺼져!](2016,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you 있는 공존](2016, 광주예총 백련갤러리), [명상-새로운 도약을 위하여](2016, 보성군립백민미술관), [대한민국구상작가특별전](2017, 울산현대미술관), [경계를 넘어서-목포아트페스티벌](2017, 목포 신선미술관), [광주예총 레지던시 같이&가치](2017,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예술교류전](2017, 광주예총 백련갤러리), [예술로 세상과 소통하다](2018, 울산문화예술회관), [한중청년예술가교류전](2018, 순천 조강훈아트스튜디오), [33](2018, 무안 남도소리울림터), [아시아국제교류전](2018, 광주 양림미술관), [진경매화](2019, 광주 양림미술관), [아트인팔레트](2019, 서울 G&J갤러리), [1회 국제예술대학예술전](2019,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Art at Home : 리얼, 예술가의 방](2019, 광주 신세계갤러리), [호남 초중견작가전](2020, 서울 G&J갤러리), [직시, 역사와 대면하다](2020,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창조원), [자연을 보는 시선](2020, 함평군립미술관), [오월이 온다](2020, 광주 양림미술관), [시간 속의 도시](2020, 광주문화예술회관 갤러리), [다시 종횡무진](2021, 창원 성산아트홀), ['보루堡壘_예술이 된 노무현](2021, 광주 오월미술관), [현실주의 미학정신](2021, 서울 인사아트플라자 갤러리), [모두 함께 같이](2021, 울산문화예술회관), [한국수력원자력 창사 20주년 기념전](2021, 영광 한빛본부 본관), [기후정의와 모두의 예술](2022, 광주 가톨릭평생교육원 헨리관), [오월전 전환’](2022, 광주 무등갤러리), [노동, 불온하지 않은 미래](2022, 울산문화예술회관), [사건으로서의 장소-임동 전남일신방직공장](2022, 광주 오월미술관), [중견작가가 바라보 COVID-19](2022, 광주문화예술회관 갤러리), [풍조우순 風調雨順](2023, 보성 백민미술관), [정전협정 70주년 특별전](2023, 광주 은암미술관), [2024오월미술제](2024, 광주 시민갤러리)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작가의 작품세계

    나는 다수적 획일성에 포획된 대중의 관념에 균열을 내고 세상 모든 존재들을 만나기 위해 접속의 매체로서 작동하는 얼굴을 표현해보고 싶다. 역사 속의 인물들부터 평범한 주변의 사람들과 동물, 심지의 사물의 얼굴이 상승과 성공의 중앙 집중적 욕망노선을 타고 가는 우리 삶의 방향을 탈중심탈성장으로 바꾸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여, ‘지금 여기에서 우리가 함께 하는 평화로운 실종의 자리를 보여주길 바래본다.”

    - 작가노트(2022년 개인전)



    연락처

    광주광역시 북구 경양로 97번길 26-7 2

    010-4609-6180

    daeju6180@naver.com

    최대주 <피안의 숲>, 2019, 캔버스에 아크릴
    최대주 <피안의 숲>, 2019, 캔버스에 아크릴

    최대주 <돎-입하(立夏)>, 2019, 캔버스에 아크릴, 91×72.7cm
    최대주 <돎-입하(立夏)>, 2019, 캔버스에 아크릴, 91×72.7cm

    최대주 <백화정령 XI>, 2019, 캔버스에 아크릴, 90.9x65.1cm
    최대주 <백화정령 XI>, 2019, 캔버스에 아크릴, 90.9x65.1cm

    최대주 &lt;자연인&gt;, 2020~21, 캔버스에 유채, 162.2x130.3cm
    최대주 <자연인>, 2020~21, 캔버스에 유채, 162.2x130.3cm

    최대주 <꿈도 없이 2>, 2022, 캔버스에 유채, 193.9x130.3cm
    최대주 <꿈도 없이 2>, 2022, 캔버스에 유채, 193.9x130.3cm

    최대주 &lt;꿈도 없이&gt;, 2022, 벽화
    최대주 <꿈도 없이>, 2022, 벽화

    최대주 &lt;시지프스 2&gt;, 2022, 캔버스에 유채, 72.7x90.9cm
    최대주 <시지프스 2>, 2022, 캔버스에 유채, 72.7x90.9cm

    최대주 &lt;시지프스 1&gt;, 2022, 캔버스에 유채, 162.1x130.3cm
    최대주 <시지프스 1>, 2022, 캔버스에 유채, 162.1x130.3cm

    최대주 &lt;꿈(대동세상)&gt;, 2024, 혼합재
    최대주 <꿈(대동세상)>, 2024, 혼합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