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운 관련링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약력소개 무심한 상태의 순수형태를 주로 탐구하는 화가 강운은 1966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를 졸업하였다. 개인전은 ‘하늘과 소나무가 있는 풍경’(1995, 광주 캠브리지갤러리)을 시작으로, ‘밤으로부터’(1995, 수원 그림시갤러리), ‘텅 빈 공간의 리얼리티’(1997, 광주 신세계갤러리), ‘하늘天 땅地’(1997, 수원 그림시갤러리), ‘내일의 작가전’(1998, 서울 성곡미술관), ‘관조와 표현으로서 하늘’(2001, 대구 공산갤러리), ‘순수형태’(2001, 광주 롯데갤러리), ‘생성의 공간’(2001, 부산 칸지갤러리), ‘‘희망’의 메타포’(2003, 서울 이화익갤러리), ‘자연과 사유’(2005, 서울 이화익갤러리), ‘순수형태_小滿’(2005,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天의 표정’(2006, EBS 스페이스), ‘바람 놀다’(2010, 울산 보우갤러리), ‘구름, 바람, 꽃 그리고 순수’(2010, 서울 비컨갤러리), ‘물위를 긋다’(2011, 안양 롯데화랑), ‘공기와 꿈’(2012, 창원 갤러리별채에서), ‘물, 공기 그리고 꿈’(2012, 서울 포스코미술관), ‘바람, 놀다’(2013, 광주 리채갤러리), ‘무등도원경-언어적 풍경’(2013, 광주 로터스갤러리), ‘하늘방’(2014, 광주 해와갤러리), ‘환영과 실재의 사이에서’(2014, 창원 갤러리세송), ‘바람의 흔적’(2015, 광주 메이홀), ‘Play : Pray’(2016, 서울 사비나미술관), ‘Touch the air’(2017, 광주 신세계갤러리), ‘Sky, Touch the air’(2017, 파리 프랑수아 리비넥 갤러리), ‘서사와 담론’(2018, 광주 산수미술관), ‘상처, 치유’(2019, 부산 신세계갤러리), ‘마음산책’(2020, 광주 김냇과갤러리), ‘운운하다’(2022, 광양 전남도립미술관), ‘파랑’(2023, 여수 예울마루 장도전시관) 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2000광주비엔날레 ’인+간‘](2000,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대한민국현대미술제](2002, 창원 성산아트홀), [不二 저절로 자연되기](2002, 광주 영은미술관), [대한민국청년비엔날레](2002, 대구문화예술회관), [봄 이야기-생명의 노래](2003, 서울 가나아트센터), [진경-그 새로운 제안](2003,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자연의 기록](2005,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분관), [침묵의 우아함](2005, 일본 모리미술관), [Art Beyond Life](2006, 서울 포스코미술관), [상상충전](2007, 안산 경기도립미술관), [Slow](2007, 스위스 갤러리MikiKim), [성곡 Awardees](2008, 서울 성곡미술관), [Blue dot Asia](2009,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정신의 지형-2009 한국의 단면들](2009, 타이페이 국립대만미술관), [2009프라하비엔날레](2009, 체코 프라하), [강진 Celadon Art Project](2010, 강진청자박물관), [Cycle Recycle](2010, 서울 인터알리아), [쉼](2011, 안산 경기도립미술관), [제3회 광주아트비전](2011,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진통](2012, 광주시립미술관), [고암미술상 추천작가전](2012, 홍성 이응노집), [제9회 광주비엔날레-’라운드테이블’](2012,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장면의 재구성](2013,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바람 바람 바람 : 미술, 바람을 품다](2013,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치유의 기술-비움과 채움](2014, 제주도립미술관), [달콤한 이슬, 1980 그후](2014, 광주시립미술관), [코리안 뷰티-두개의 자연](2014,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Heritage, Legacy and Light](2014, 파리 유네스코본부), [지금, 여기](2015, 포항시립미술관), [구름과 비행](2015, 대전시립미술관), [빛, 생명, 물질](2016,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자연 그 안에 있다](2016, 원주 뮤지엄 산), [한중현대미술20인전](2016, 광저우 GAFA 우시티미술관), [풍경처럼 풍경같은](2017, 파리 프랑스와 리비넥 갤러리), [에꼴 데 피](2017, 프랑스 브레따뉴), [정원사의 시간](2017, 파주 블루메미술관), [Time+Time, 한국현대미술 Now](2017, 타이중 다장아트스페이스), [예술가의 명상법](2018, 서울 사비나미술관), [2018천년의 꿈](2018, 강화 종족산사고 특별전시관), [우리의 집, 지구 Help Earth! Help Us](2018, 고양 아람미술관), [ONE INSPIRATION](2018, 도쿄 한국문화원, 시로타화랑), [제철비경](2018, 서울 포스코미술관), [Contemporary Art in Namdo](2019, 담양 담빛예술창고), [having](2019, 대구 신세계갤러리), [DMZ](2019, 서울 문화역서울284), [제13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MaytoDay](2021, 광주 옛국군병원), [두번째 봄](2022, 광주시립미술관), [보이지않는 말들의 풍경](2022,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 [우리가 마주한 찰나](2022, 수원시립미술관), [제1회 호반미술상 수상작가전](2023, 서울 용산전쟁기념관 전시실), [어떤 삶, 어떤 순간](2023, 서울 금호미술관), [추상](2024, 무안군오승우미술관), [결을 품은 한지](2024, 전주 청목미술관)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작가의 작품세계 “나는 상황에 순응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살며 영감을 받고 싶다...(중략)... 구름 낀 하늘을 보면 원초적인 공허가 있다. 꽉 차있으면서도 텅 비어 있고, 텅 비어 있으면서도 공허로 꽉 찬 것 같은 묘한 뒤틀림이다. 그 하늘을 보고 있노라면, 슬픔도 아니고 분노도 아닌 공허 속으로의 긴장된 침잠이 있다. 뭐랄까 나라는 존재가 텅 빈 뒤틀림 속에서 영혼이 맑아짐으로 바뀌는 기묘한 체험들…… (중략) 구름이란 비정형(非定形)의 대상들에게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결국 인간의 정신 내지 지식을 반영하며 나에게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사이에 어떤 이면성을 가지게 됐다... 구름은 관찰에 의해서 그려진 것이 아니라 관찰되어진 정보들의 재구성인 것이다. 왜냐하면 영원히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불가시적인 사연의 현상을 가시적인 기호들로 묶어서 표현하려는 것이다... 나에게 있어 구름은 마음의 풍경화요, 음양의 충화(沖和)로 가득한 심상(心象)의 긴장이며, 그 사이의 틈새는 "보편적 감성의 내재율"을 융합시켜 주는 명상이 있다. 현재 나의 작품을 가장 순수한 공간으로부터 출발하여 보편적 인간 감성의 내재율을 가시화 시키고 있는 중이다.” - 강운(작가노트) “얼핏 보면 구름을 그린 그의 그림들은 너무 슈퍼피셜하거나 슈퍼플랫한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뒤돌아서면... 말 그대로 구름을 가지고 하늘 속에 풍수를 배치해 놓은 것이다. ‘기의 이동으로 인해 생긴 것이 바람이요, 기가 응집하여 형체를 이룬 것이 물이다’… ‘물 위를 긋는’ 일획화와, 풍수를 연상시키는 구름은 ‘상구보리 하와중생’과 댓귀다… 일획은 현실을 벗어나려는 해탈과 연결된다.” - 윤재갑(독립큐레이터, 2012년 개인전 카탈로그 서문에서 발췌) “공기와 꿈은 두께를 가늠하기 어려울 만큼 얇은 한지를 작게 오려붙이는 지난한 과정에서 바람이 넘나드는 푸른 하늘의 생생한 결을 느끼며, 거대한 하늘로 만들어진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시스템은 전부 작은 입자들이 모여 구체적인 이미지를 만들지만, 이 모든 것들은 우리의 손끝을 통해 창조되는 공존의 미학이다.” - 강운(2016년 개인전 팸플릿에서 발췌) 연락처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227-2 (동구 대인동 198-19)010-8602-9989kanun1203@hanmail.netwww.art500.or.kr/kangun.do 강 운 <밤으로부터I>(부분), 1998, 캔버스에 유채, 259.1x162.1cm강 운 <순수형태-심상>, 2000, 캔버스에 유채, 333.3x218.2cm강 운 <순수형태>, 2005, 목재 설치강 운 <물 위를 긋다-무한여백>, 2012, 종이에 담채, 69x45.5cm강 운 <숲 숨 쉼 그리고 집>, 2012, 종이에 담채, 101x68cm강 운 <공기와 꿈>, 2016, 캔버스에 염색한지, 112.1x162.2cm강 운 <마음산책-자산어보 대화>, 2021, 캔버스에 유채, 53.0x45.5x2cm강 운 <마음산책-영원한 햇살>, 2022, 캔버스에 유채, 53.0x45.5x2cm강 운 <파랑-아랫구무섬>, 2023, 종이에 담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