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임석 관련링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약력소개 한국화가 남리 허임석은 1961년 전남 진도 출생으로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와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를 졸업하였다. 1997년 광주 남봉갤러리에서 ‘허임석 수묵화전’을 시작으로, 2001(광주 무등예술관), 2004(광주 나인갤러리, 서울 아트프라자), 2006(서울 타워호텔, 광주 창갤러리), 2010(광주 신양파크호텔), ‘바람이 이니’(2011, 광주 신세계갤러리), 2019(광주 남리카페갤러리)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남청회전](1997, 광주 남도예술회관), [새천년 전라남도미술대전 조명전](2000, 광주 남도문화예술회관), [광주-가고시마 미술교류전](2000), [현대한국화협회전](2000), [대한민국미술축전](2002,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대한문인화협회전](2003, 서울 하나로갤러리), [연진회전](2003, 서울 세종문화회관 갤러리), [신년세화전](2004, 광주 신세계갤러리), [한국화 구상회](2004), [한중수묵화교류전](2005), [청풍선풍](2005, 광주 신세계갤러리), [제48회 연진회원전](2005, 서울 이형아트센터), [우리 땅 동서남북 끄트머리](2005, 광주), [세계박물관문화박람회전(2005, 경기도), [Oh! Yes](2006, 서울 공평아트센터), [아시아의 중심전](2006), [봄 내리는 소리](2007, 광주 신세계갤러리), [카렌다로 보는 미술의 향기](2008, 서울 갤러리 타블로), [가을을 걷다](2010, 광주시립미술관), [선서화전](2011, 서울 대한불교조계종 전법회관), [남도묵향 내일을 가다-100년의 전통과 정신](2011, 광주시립미술관), [제1회 호남거장 및 중견작가전](2014, 담양 한국대나무박물관 갤러리), [진경매화](2015, 광주 향토음식박물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출판기금 마련전](2017, 광주 은암미술관), [남도묵향 내일을 가다](2017, 광주시립미술관), [호남의 현역작가들Ⅱ](2018, 광주시립미술관), [아트광주19](2019,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또 다른 일상, 그림으로 기억하기](2020, 광주 시민갤러리), [장전家 DNA](2021, 진도 장전미술관), [로컬아트 광주](2021, 광주 광주극장), [수집-호남의 기억과 시간](2024, 광주시립미술관) 등에 참여하였다. [광주광역시전] 문인화부 대상(1993), [대한민국서예대전] 특선(1994), [제20회 대한민국미술대전] 문인화부 대상(2001), 의재허백련미술상 특별상(2004), 제2회 대동미술상(2008) 등을 수상하였다. [전남도전] [전국무등미술대전] [광주시전] 등의 심사를 맡았으며,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 대구대학교, 수원대학교 대학원에 출강하였다. 현재는 한국미술협회, 전통과형상회, 취림회, 연진회, 창묵회, 광주전남문인화협회, 현대한국화협회 회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대부분의 작품들이 전통적인 남조화기법에 의한 수묵 위주의 작품으로 약간의 담채만으로 운치를 더하고 있으며, 습윤濕潤한 농묵과 담묵의 미점米點을 적묵積墨시켜 산의 깊이를 느끼게 한다. 전통과 현대의 새로운 작업이라는 이름 아래 아무런 철학도 없이 그려졌던 그림들 속에서 모처럼 깊이 있는 전통산수를 보는 느낌은 너무 큽니다. 또한 근작들은 관념적 회화에서 벗어나 실경 중심의 사실 표현의도를 조화시켜 변화를 시도하는 듯 하다. 자유분방한 필선을 바탕으로 먹색 농담의 변환을 통해 수묵산수의 맛을 한껏 표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아직 발묵, 파묵, 선염 등의 표현기법은 꾸준히 연구해야 할 과제가 아닌가 싶다.” - 박행보(문인화가), 2006년 허임석 개인전 서문 중 연락처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천로 85번길 15(동명동) 남리화실 062-227-5354 / 010-3611-7871 https://blog.naver.com/namri61 허임석 <정상으로 가는 길>, 2006, 한지에 수묵담채허임석 <청풍고절 靑風高節>, 2006, 한지에 수묵담채허임석 <송음고사>, 2006, 한지에 수묵담채허임석 <해심 解心>, 2006, 한지에 수묵담채허임석 <보춘 報春>, 2007, 한지에 수묵담채허임석 <동심>, 2011, 한지에 수묵채색, 73x105cm허임석 <송음고사>, 2006, 한지에 수묵채색허임석 <각설이>(부분), 2018, 장지에 수묵채색허임석 <새소리>, 2021, 장지에 수묵채색, 116.8x91c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