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담 > 우리시대의작가들/회화

본문 바로가기

회화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회화

    우리시대의작가들/회화

    홍성담

    본문

    약력소개

    화가 홍성담은 1955년 전남 신안 출생으로 조선대학교 미술교육학과를 졸업했다.

    1979년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를 결성하여 1980년대 민족민중미술운동의 새벽을 열었으며, 1980518광주민중항쟁 당시 문화선전대로 활동했다. 1981년 소극장 일과놀이활동, 1983년 광주시민미술학교 개설, 1985년 시각매체연구소ㆍ민족미술협의회 결성 참여, 19876월항쟁 당시 문화선전 활동, 1988년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 결성 준비위원회 참여, 광주문화운동협의회 운영위원장 및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 의장 등 80년대 현실참여 미술운동에 앞장섰다. 1990년 영국 글래스고시의 '올해의 양심수 예술인', 엠네스더의 '1990년 제3세계의 탄압받는 3대 예술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개인전으로는 1980(광주 전일미술관), 1988(독일, HENKE 갤러리), 1989(마산 YMCA, 서울 그림마당 민, 전주 온다라미술관, 목포 카톨릭회관), ‘홍성담 판화전’(1990, 영국 글래스고 미첼도서관, 트램웨이지 지하철역, 미국 L.A, 독일HAMBURG재단 등), ‘홍성담 석방 촉구 판화전’(1991, 독일 브레멘빌라이혼 화랑), ‘1999 탈옥’(1999, 서울 가나아트센터), ‘가화假花’(2004, 서울 학고재), ‘홍성담 오월판화전’(2006, 광주 518기념문화센터), ‘야스쿠니의 迷妄’(2009, 서울 평화공간), ‘흰빛 검은 물’(2010,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아홉개의 구멍’(2013, 광주 메이홀), ‘바리 연작’(2014, 광주 메이홀), ‘금지된 그림’(2015, 베를린 독일신사회미술협회 기획전시실), ‘들숨 날숨’(2017, 고양 갤러리한), ‘세월오월’(2017, 광주시립미술관), ‘에서 끌어올린 곡’(2017, 대전 미름갤러리), ‘봄이 새긴 얼굴들](2018, 대전 미름갤러리), ‘운동화비행기원화전‘(2018, 광주 518기념문화센터), ‘세월오월과 촛불집회’(2018, 서울 인사아트센터), ‘홍성담 오월판화 한마당’(2018, 광주 메이홀), ‘야스쿠니의 미망’(2019, 군산 평화바람부는여인숙), ‘19금 정치풍자전’(2019, 광주 갤러리생각상자), ‘새벽’(2020, 제주 아트스페이스)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단체전은 [5월 진혼제를 위한 야외전](1980, 나주 남평읍 드들강변), [2000년전](1981, 광주 전일미술관), [5월 판화전](1981, 전주 온다라미술관), [해방40년 역사전](1984, 서울ㆍ광주ㆍ대구ㆍ전주), [민족해방운동사 전국순회전](1989, 광주 금남로 등), [판화정예작가 15인 초대전](1995, 광주 송원갤러리), [통일전](1987, 서울 그림마당 민), [반고문전](1987, 광주 카톨릭센터), [동학 100주년 기념전](1994, 서울 예술의 전당),[민중미술15년전; 1980-1994](1994, 과청 국립현대미술관), [물 한방울, 흙 한줌](1994, 서울ㆍ광주ㆍ부산), [1회 광주비엔날레](1995, 광주비엔날레관), [한국 정치법이 아로새긴 자유의 목판화](L.A 시티컬리지학생회관), [미술로 본 20세기 한국인물전-전태일](1996, 노화랑), [8회 조국의 산하-](1996, 서울시립미술관), [시와 판화의 만남](1998, 학고재화랑), [인권기념미술전](1998, 예술의전당 전시실), [친일 인명사전 편찬기금 조성을 위한 판화전](2002, 문예진흥원 마로니에 미술관), [동쪽의 물결-저항과 명상](2003, 뉴욕 퀸스미술관), [2004서울미디어아트비엔날레](2004, 서울시립미술관), [6회 광주비엔날레](2006, 광주비엔날레관), [80년대 광주 민중미술전](2013, 광주시립미술관), [노란 나비떼와 푸른 진실의 세월](2017, 담양 담빛예술창고), [핵몽2](2017, 광주 은암미술관), [검은 하늘, 붉은 눈물](2018, 광주 518기념문화센터), [인물, 초상 그리고 사람-한국 근현대 인물화](2019, 서울 갤러리현대), [말하고 싶다](2021, 담양 담빛예술창고), [오월판화전-전언](2021, 광주 양림미술관), [타오르는 마음 내버려진 영혼](2021, 광주 메이홀), [한국 민중미술전](2022,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꽃핀쪽으로](2022, 베니스 스파지오 베를렌디스), [비원 ; 긴 여정의 시작](2024, 광주 은암미술관, 울산노동역사관 기획전시실 등), [목판화_새겨 찍은 시대정신](2024, 광주시립미술관)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오월에서 통일로(1990, 청년사), 해방의 칼꽃(1991, 풀빛출판사), 사람이 사람을 부른다(2012, 동경 夜光社), 바리(2013, 삶창), 동아시아의 야스쿠니즘(2016, 동경 雄學書房), 불편한 진실에 맞서 길 위에 서다(2017, 나비의 활주로), 난장(2017, 에세이스트사), 운동화비행기(2017, 평화를 품은 책), 오월 : 5.18광주민중항쟁 연작 판화(2018, 단비) 등을 출판했다



    작가의 작품세계

    홍성담은 흉흉한 전설을 듣고 자랐는데 철들고 나서 알고 보니 그게 모두 섬사람들이 겪은 무서운 사건들을 각색해 놓은 것이었다고 한다. 홍성담의 역사의식은 바로 그곳으로부터 시작한다. 홍성담이 대학시절 시작했던 연작 그림백의민족의 노래의 터전이 고향 사람들의 발자취였음을 필자는 훨씬 뒷날 깨달았다. 그 그림은 1980년 광주항쟁을 겪은 뒤 작품세계와 달랐고 그래서 그 뒤 잊어버렸던 것이다.

    홍성담은 유신과 신군부가 지배하는 땅에 리얼리즘 미학을 굳건하게 심어놓았다. 또 그는 조국의 운명을 위해 청춘을 바친 투사요 미술운동을 이끈 지장(智將)임에 틀림이 없다. 일찍이 젊은 날의 홍성담이 '전투적 신명'을 미술운동의 화두로 내세웠을 땐 같은 진영 안에서조차 과격하다고 했던 또 뒷날 마르크스주의 미학을 내세운 이론가들은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비판을 했다. 하지만 오늘에 이르러 홍성담의 그 화두는 대단히 철학적이고 진지하며 아름다움을 힘차게 일궈내는 미학적 알맹이를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해야 마땅한 상황에 이르렀다. 미술의 힘을 그처럼 적절하게 표현한 예를 필자는 아직 알지 못한다. 홍성담은 그 누구보다도 파란만장한 세월을 겪어왔다. 농촌·공장·가두·화랑으로 몸을 놀렸고 그때마다 홍성담은 어김없이 뛰어난 작품들을 내놓았다. 언술로서의 화두만 내놓은 게 아니라 창작이라고 하는 형상으로서의 화두를 내놓은 것이다.”

    - 최 열 (미술평론가)

     

    그에 의하면 "하나의 양식은 예술적 실천 속에서 역동적으로 새로워지고 또 그 의미를 획득해 나가게 된다. 지난 양식의 제반 성과들이란 끊임없이 파괴되면서 새로운 양식으로 변화되 나가는 것이다. 양식의 변천과정은 대중력과 함께 하는 지속적인 예술 실천 과정의 움직이는 과정이다." 그의 말처럼 80년대 그의 그림들은 80년대 미술 과정 중에서 생산되고 있는 민족자주 형식의 한 양식을 대변한다. 미술운동을 사실주의 미술을 실천하는 과정으로 파악한 그는 대중력과 함께하면서 움직이는 민족민중 양식의 미학을 당대 시각저서의 조직화로 성취하고자 했다.

    80년대 홍성담의 작업들이 지닌 미학체계는 80년대 이루었던 민족민중문화운동의 성과들을 종합하는 것이었다. 이 성과는 한국사회의 현단계 성격에 대한 민족적 자아의 자각된 인식에서 비롯한 성과이다. 7.80년대 들어 본격화되던 민주화 운동과 문화운동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최근 근·현대사에 대한 객관적 인식에의 요구는 한국의 현실문화에 대한 총체적 상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 과정은 시민계층의 성장과 더불어 우리문화에 대한 현실인식에서 비판적 리얼리즘 미학의 의 성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었던 조건이 되었으며, 모더니즘 미학의 진보적 성과를 우리문화의 역사과정 속에서 재음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광주의 5월은 현실에 대한 전투적 리얼리즘의 자세를 촉구할 만큼 우리사회의 '현대성' 뒤에 은폐되어 있는 극명한 정치적 모순들을 노출시켰다. 작가 홍성담은 80년대 이 현실에 개입해 들어갈 수밖에 없었던 진보적 지식인 예술가들의 전형적인 상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들은 민중미술운동 이념이 추구했던 바 그 정치성의 미학의 가장 극명한 형식, 즉 민족적 리얼리즘의 형식으로 80년대를 위한 '산 미술'을 담아냈던 것이다.”

    - 강성원 (미술평론가)



    연락처

    011-280-6134

     

    홍성담 <칼갈기>, 1979, 캔버스에 유채, 91x72.7cm
    홍성담 <칼갈기>, 1979, 캔버스에 유채, 91x72.7cm

    홍성담 &lt;대동세상&gt;, 1984, 목판화, 41.8x55.5cm
    홍성담 <대동세상>, 1984, 목판화, 41.8x55.5cm

    홍성담 &lt;신몽유도원도&gt;, 2002, 900x290cm
    홍성담 <신몽유도원도>, 2002, 900x290cm

    홍성담 &lt;야스쿠니의 미망&gt;, 2010, 650x130cm
    홍성담 <야스쿠니의 미망>, 2010, 650x130cm

    홍성담 &lt;아리랑을 부르는 탁경현&gt;, 2010, 140x100x70cm
    홍성담 <아리랑을 부르는 탁경현>, 2010, 140x100x70cm

    홍성담 &lt;세월오월&gt;, 2014, 캔버스에 아크릴릭, 250x1,050cm
    홍성담 <세월오월>, 2014, 캔버스에 아크릴릭, 250x1,050cm

    홍성담 <바리데기>, 2014
    홍성담 <바리데기>, 2014

    홍성담 &lt;홍수&gt;, 2015,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x194cm
    홍성담 <홍수>, 2015, 캔버스에 아크릴릭, 130x194cm

    홍성담 &lt;통일대원도&gt;,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194x390cm.
    홍성담 <통일대원도>, 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 194x390c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4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