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달재 관련링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약력소개 한국화가 직헌 허달재는 1952년 광주에서 태어나 조부인 의재 허백련 문하에서 가법인 호남 남화를 공부하고 홍익대학교에서 한국화를 전공하였다. 개인전으로 1980(서울 세종문화회관), 1983(광주 화니화랑), 1985(서울 현대화랑), 1988(뉴욕 뉴욕갤러리), 1996년(프랑스 에스파스 피에르가르뎅미술관, 갤러리 지현), 1998(파리 MAC 2000년전 초대전), 1999년(동경 갤러리 아미), 2002(뉴욕 브룸스트리트갤러리), 2003(광주 나인갤러리), 2004(남양주 서호미술관), 2006년(서울 박여숙화랑, 려갤러리), 2007년(제주 박여숙화랑), 2008년(박여숙화랑), ‘정중동 靜中動’(2008, 중국 심천화원 深玔畵院, 서울 박여숙화랑), ‘고중심 古中新’(2008, 베이징 중국미술관), 2010년(베이징 T아트센터, LA 표갤러리), ‘심조화 화조심 心造畵 畵造心’(2011, 서울 롯데갤러리), ‘정중동 동중정’(2011, 베이징 화원미술관, 상하이미술관), 2012(광주 무각사 로터스갤러리), ‘춘매다화 春梅茶話’(2014, 광주 제희갤러리), ‘정중동 동중전’(2019, 서울 표갤러리), 2020(서울 롯데갤러리), ‘가지 끝 흰 것 하나’(2021, 광주시립미술관), 2022(서울 이화익갤러리), 2024(서울 이화익갤러리)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은 [수묵의 향기, 수묵의 조형](2001,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국제아트페어](2002, 서울 COEX), [한중수묵화전](2002, 심천 관산월미술관), [연진회 회원전](2004~ 광주 의재미술관 등), [제4회 국제수묵화비엔날레](2004, 심천 관산월미술관), [2005북경비엔날레](2005, 북경 중화세계단예술관), [현실과 이상](2005, 광주 의재미술관, 심천 관산월미술관), [도자향 서권기](2006, 서울 박여숙화랑, 려갤러리), [SH컨템포라리](2007, 상해 박여숙화랑), [서울오픈아트페어](2007, 서울 박여숙화랑), [뉴욕아시아아트페어](2007, 뉴욕 박여숙화랑), [춘설일가](2009, 광주 의재미술관), [탐매](2009, 국립광주박물관), [무등산 청년선언](2009, 광주 갤러리D), [광주 이스탄불 교류전](2009, 광주시립미술관), [소통](2010, 광주 갤러리D), [Ceradon Art Project 2010](2010, 강진 백련사 만경루),[남도묵향](2011, 광주시립미술관), [한국국제아트페어](2011, 서울 더칼럼스갤러리), [흐름-한옥 공간 개념 속의 전통과 현대전](2012, 서울 홍익대 현대미술관), [배병우 전수천 허달재 3인전](2012, 광주 의재미술관), [2015광주디자인비엔날레](2015,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북경사범대학초대전](2016, 베이징 경사미술관), [일가지화 一家之畵](2016, 광주 의재미술관), [아트광주16](2016,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남수묵프레비엔날레](2017, 목포문화예술회관), [천년의 하늘, 천년의 땅](2018, 광주시립미술관), [의재, 산이 되다](2019, 광주시립미술관), [한: 숨_허달재 & 박희섭 2인전](2020, 서울 리환갤러리), [매화_허백련 & 허달재](2020, 서울 금암미술관),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본다](2021, 광양 전남도립미술관), [아부다비 아트](2021, 아부다비 이화익갤러리), [2021광주디자인비엔날레](2021,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아트광주21](2021,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꽃과 새가 어울린 자리](2022, 광주 의재미술관), [기증의 시작](2022, 광주시립미술관), [공진화: 존재로의 회귀](2022, 서울 표갤러리), [2022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 기획전-유희물질](2022,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몰입미감](2023,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에 출품하였다. 뉴욕주립대학과 뉴욕 스토니브룩대학의 객원교수(1987~88)를 지냈고, 3‧1문화상(2025)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재)의재문화재단과 (사)삼애학원 이사장이면서 서울과 광주를 오가며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사람이 살아가는 데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과 몸으로 행동하는 두 가지 기본 요소가 있다. 생각이 모아지면 뜻(意)이 되고, 그 뜻에 따라 행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개 뜻이 먼저 있고 그에 따라 행동이 있기 마련이다. 이처럼 행위와 의지에 의한 심신의 활동이 곧 삶이다. 뜻이 선하면 과보도 선하고, 뜻이 악하면 과보도 악하기 마련일 것이다. 무엇이나 원인 없는 결과가 없고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 원인 또한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인과율은 당연한 우주의 질서이다. 그러므로 나는 선업으로 하여금 항상 마음에는 청정함을 간직하고자 하며 나 자신 존재의 핵심 깊이 도달하고 내재적 자각인 순수 직관에서의 끊임없는 적공(積功)에서 표출하고자 한다. 인간이란 순간적 존재이기에 영원을 의구하며 현실보다는 내재적 사의(寫意)로 미의 무한함을 순간적인 삶과 종합하고자 한다. 필묵을 빌어 무형(無形)을 밝히는 동시에 나 자신이 항상 표현하고자 했던 미와 맛과 멋 등 가슴속에 간직한 정신을 나타내고자 함이다. 차 한잔을 마시는 여유로움 속에서 청정한 마음으로 붓을 움직이고자 한다. - 직헌 허달재 (2012년 광주 로터스갤러리 개인전 리플릿에서 옮김) 허달재의 화풍은 온고지신이란 말에 적응되는 전통의 존중과 현대적 해석의 신중함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옛것을 알고 새로운 길로 나아간다는 것은 동양인들이 추구해 마지않았던 오랜 지혜의 결정물에 다름 아니다…어떻게 보면 그의 작품은 우선 그 내용에 있어서나 기법에 있어 과거의 양식을 방불케 하는 점이 적지 않다. 특히 화조화의 내용이나 그것을 다루는 형식적인 면에서 과거의 화조화를 연상케 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현대라는 시각에서 볼 때 그것은 단순한 과거의 스타일이 아니라 현대적 감각이 강하게 지배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게 한다. 이 점은 전통을 새롭게 해석한 결과에서 비롯한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무엇보다도 그의 태반의 작품이 단순한 관념의 산물이 아니라 현장의 실사를 통한 화조의 새로운 접근에 근거한다는 사실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화조이면서 자칫 고루해질 수 있는 형식미를 대담히 벗어나 현장에서의 화조를 직접 대하는 것 같은 리얼한 접근과 동시에 그림으로서의 장르의식을 잃지 않는 격조를 아울러 지니고 있음이 그의 작품의 특징이다… 이번 작품들은 대단히 섬세한 붓질과 단아한 설채로 인해 그윽한 여운을 남긴다. 그런가 하면 활달한 일회성의 운필을 통한 대상의 표현적인 묘사는 문인화의 새로운 경지를 보여주는 것 같은 인상이다. - 오광수(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2011년 서울 롯데갤러리 개인전 서문에서 발췌) 연락처 광주광역시 동구 의재로 103 연진미술원 062-228-7385, 062-222-3040(의재미술관) jickhun@hanmail.net 허달재 <성외성 聲外聲>, 2000, 한지에 수묵, 135x174cm허달재 <목단>, 2008, 한지에 수묵채색, 37x40cm허달재 <홍백매>, 2011, 한지에 수묵채색, 132x169cm허달재 <백매>, 2011, 한지에 수묵채색, 144x208cm허달재 <연 蓮> 8폭 일지 병풍 부분, 2014, 한지에 수묵채색, 각 46x37.5cm허달재 <백매> 2폭 병풍, 2016, 한지에 수묵채색허달재 <모란>, 2015, 한지에 수묵채색, 금니, 129x190cm허달재 <목단>, 2018, 한지에 수묵채색, 170x120cm허달재 <백매>, 2021, 한지에 수묵, 금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