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범 관련링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약력소개 현실주의 참여미술을 지향해온 화가 이사범은 1949년 광주출생으로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중고교에서 교직 생활을 하면서 화업을 병행해 1982년(광주 아카데미미술관), 2017(‘걸음걸음의 흔적’,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개인전을 가졌다. 단체전은 [오월전](1989~현재, 광주 금남로·오월묘역·갤러리 등), [광주통일미술제]((1995, 1997 광주 오월묘역), [동학100주년기념전](1994,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민미협 가을 정기전] (2006~?), [노동미술굿](2004, 부산민주공원, 광주 5·18기념문화관 전시실), [걸어온 10년 가야할 10년](2004, 광주시립미술관), [오월전-9개의 창](2005, 광주 5·18기념문화관 전시실), [광주민미협 창립기념-핀치히터](2006, 광주 구 전남도청), [끝나지 않은 전쟁-1987](2007, 광주 구 전남도청), [영호남민족미술인교류전](2007, 광주 5·18기념문화관 전시실), [江강水원래](2009, 광주 5·18기념문화관 전시실), [오월-그 물음에 답하며](2010, 광주 금호갤러리), [신형회전](2011,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그림으로 만나는 오월의 시와 노래](2012, 광주 향토음식박물관 전시실), [신소장품전](2012, 광주시립미술관), [오월-1980년대 광주민중미술전](2013, 광주시립미술관), [최면-의도된 상황](2013,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전남대학교 울란바토르대학 교류전](2013, 울란바토르), [미감-공유](2013, 광주 은암미술관), [소멸-또 다른 시작](2013, 광주 은암미술관), [갑오세 가보세](2014,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충북민족미술·아트페스티벌 ‘인류의 촉각’](2016, 청주예술의전당), [광주미술 어제와 오늘](2015,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천개의 탑](2016,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충북민족미술·아트페스티벌](2016, 청주 우민아트센터), [전국미술인 시국선언전](2016,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오래된 대장간](2018, 광주 은암미술관), [100인 미술전](2018,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민중畵, 민주花](2020, 광주 은암미술관),[우리가 그곳에 있었다](2020, 광주 오월미술관), [반추된 역사](2020, 광주 은암미술관), [오월미술제](2022, 2024, 광주 은암미술관), [이름없는 전사들](2022, 광주 BHC갤러리), [10·26 탕탕전](2023, 광주 BHC갤러리), [서양화 유명작가 23인 초대전](2024, 광주 수하갤러리), [청류탁세](2024,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시실) 등에 참여했다. 광주전남미술인공동체 회장과 광주민예총 부회장으로 일했고, 전남대학교 미술학과 외래강사였으며, 광주민미협과 신형회 회원, 광주미술상운영위원회 운영위원으로 창작활동 중이다. 작가의 작품세계 “이사범의 그림 주제는 크게 세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먼저 ‘시장 사람들’이다. 그의 시장 풍경은 주로 시골 5일장 풍경인데, 막걸리와 국밥을 들고 있는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의 모습을 통해 훈훈한 정과 사람 사는 냄새를 깊이 느낄 수 있다. (중략) 시장은 작가에게 사람 냄새 물씬 풍기는 장소이자 어머니에 대한 깊은 그리움이 배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두 번째로는 ‘시대 상황의 표현’이다. 작품 <아들의 낫을 가는 아버지>(1989), <공수부대의 만행>(1990), <쌀>(1993), <그날>(1996), <강을 손 본단다>(2009), <잃어버린 것들>(2009), <새 며느리의 밥상>(2013), <최면>(2013), <거울아 거울아>(2015), <왜>(2015) 등은 광주민중항쟁의 참상과 우리네 밥상이 서양음식으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 피폐화되어가고 있는 농촌, 이명박 정권의 4대강 사업, 그리고 세월호 참사까지도 사실적이면서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주제가 공통분모처럼 겹쳐지는 ‘농어촌 사람들’을 표현한 것이다. 일을 하고 밝게 웃는 인물상도 보이지만 전체적인 느낌은 깊은 고독감과 외로움이다.” - 임종영 (광주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2017 개인전 팸플릿 평문 중 연락처 광주광역시 북구 서암대로30번길 10-6 010-4601-9347 24beum@hanmail.net 이사범 <아들의 낫을 가는 아버지>, 1989, 캔버스에 아크릴, 162x130cm이사범 <공수부대 만행>, 1996, 캔버스에 유채, 180x250cm이사범 <지상에 깃대를 세워>, 1997, 혼합재 설치이사범 <마음의 정>, 2004, 캔버스에 유채, 60F이사범 <쌀-지킬 땅, 숨결>, 2006, 캔버스에 유채이사범 <묘역에 봄은 오는가>, 2012, 캔버스에 유채이사범 <침탈된 밥상>, 2014, 캔버스에 유채, 60호P이사범 <빨간색으로>, 2020, 캔버스에 유채, 아크릭, 227.3x145.2cm9.이사범 <주먹밥 (밥이 하늘이요 꽃이다)>, 2024, 캔버스에 유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