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희원 관련링크 다음글 목록 본문 약력소개 조각가 최희원은 서울 출생으로 조선대학교 미술학부에서 조각을 전공하고 사회복지사 일과 장흥 우드랜드 조형팀장 등으로 일하다 늦깎이로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그동안 개인전은 ‘기획초대전’(2008, M갤러리), ‘드로잉 모노타입’(2009, 리치갤러리), ‘모노타입’(2009, 루이스), ‘산지린구 山之嶙岣-산의 깊은 벼랑이어라’(2016,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표정’(2018,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최희원기획초대전’(2019, 장흥 목재산업지원센터), ‘해지파란 海之派瀾‘(2021, 광주 호랑가시나무아트폴리곤)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방의 재구성](2007, 광주 롯데갤러리), [한국 현대조각가 62인 초대전](2008, 광주 조선대학교미술관), [참깨](2008,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순수정신](2008, 광주 조선대학교미술관), [제7회 광주비엔날레 ‘프로젝트 봄’](2008, 광주 금남로1~3가), [MASS IN SPACE](2009, 광주 쿤스트할레광주), [백학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2010, 광주 조선대학교미술관), [신진작가전](2012, 광주 대동갤러리), [1986 ROAD전](2015, 광주 우제길미술관), [아~ 무등이여](2016,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갈대-바람의 흔적](2016, 강진아트홀), [느림의 미학](2016, 광주 무등산국립공원), [한국 대만 중국 일본 국제판화교류전](2016, 광주 금봉미술관), [다므기전](2017,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공공미술프로젝트 야외조각전](2017, 울산문화예술회관 야외), [꽃, 무등에 피다](2017,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창고 속 현대미술](2017, 담양 담빛예술창고), [ARTOON](2017.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남도조각가협회40주년전](2018,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한국현대조각초대전](2018, 춘천MBC 호반광장), [역사는 없다-위안부 피해자전](2019,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21세기정신 조각회전](2019,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환경미술제](2019,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전시회](2020, 조선대학교 김보현&실비아올드미술관), [광주천 ON프로젝트](2021, 광주 학동 광주천변), [한국현대조각초대전](2021, 춘천MBC 호반광장), [견생조각전](2022, 곡성 곡성천 일원), [존재의 고리](2022, 광주 소암미술관), [입주작가결과보고전](2022, 화순예술인촌) 등에 참여하였다. 2019 광주광역시미술대전 우수상(2019)과 대상(2020)을 수상하였고 조선대학교 미술대학과 대학원에 출강하였다. 현재 광장조각회 운영위원, 전국조각가협회, 21세기정신조각회, 남도조각회, 백학조각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젊은 조각가 최희원이 최근 찾아와 불쑥 자신의 작품사진을 내 놓았을 때, 나는 오랜만에 맛보는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작품 속에 인물이나 기물, 또는 인위적 구성요소가 배제된 형상들이 그 구조와 운동감, 구축적이고 기념비적 조형의 느낌들을 확실히 전달하고 있었기 때문이며, 더욱이 주 재료인 나무의 형태를 치밀하게 계획하여 도려내기보다 원래 재단된 형상에 맞추어 기운생동의 질감을 직접적이고 담백하게 드러내고 있어 하나의 조각작품이 지녀야 할 기승전결의 원칙 따위를 군더더기 던져버리듯 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 김인경 (조선대 조각과 교수), 최희원의 개인전(2016) 전시 서문 중 “평소에 흔히 지나치는 외형적 형상들은 크건 작건 감히 가늠할 수 없는 광대한 공간에서 호흡하고 있다. 사람들의 시각적 차이와 감정에 의해 형상은 제 각각 다른 의미가 부여될 수 있는 것이지만, 그것은 나에게 흔히 지나칠 수 없는 거대한 숨소리로 다가온다. 자연의 형상에서 그 존재에 대한 작은 변화들과 호흡은 멈추지 않는 순환으로서 생명의 치열한 삶의 무게를 품고 침묵으로 자리한다. 그 내면의 아름다움, 신비, 웅장함은 모든 생명의 근본이기에 본질을 보듬고 있는 ‘존재’에 대한 탐구이며 작품을 통해 ‘생명의 외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 최희원 작가노트 (2021) 중 연락처 전남 강진군 대구면 청자로 1728 (미산마을) 010-8884-3580 enter121@hanmail.net 최희원, (세월호사건), 2014, 은행나무최희원 <산린지구 山之嶙嶇>, 2016, 목재최희원 <산린지구 山之嶙嶇>, 2018최희원 <산린지구 山之嶙嶇>, 2018, 목재, 45x27x60cm최희원 <제발>, 2019, 홍송. 35x30x65cm최희원 <해지파란-역류>, 철용접, 45x24.5x51cm최희원 <해지파란-파도>, 2021, 철용접, 50x45x29cm최희원 <해지파란-흑해>, 2021, 철용접, 195x60x65cm최희원 <해지파란-夕海>, 2021, 목각, 25x25x14c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