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석 > 우리시대의작가들 - 조각/입체조형

본문 바로가기

조각/입체조형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조각/입체조형

    우리시대의작가들 - 조각/입체조형

    조광석

    본문

    약력소개

    거친 자연목재들로 자유로운 구성의 목조각을 주로 하는 조각가 조광석은 1968년 강원도에서 태어나 유년시절부터 광주에서 성장하다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동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그동안 개인전으로 2007(옥과미술관), 2008(광주 지산갤러리), ‘+고래’(2009, 광주 롯데갤러리), 2015(곡성 전남도립옥과미술관) 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광주청년작가전](2002 옥과미술관, 2005 메트로갤러리, 2007 광주 KBS, 2008 시안갤러리 등), [영월현대미술제](2003, 영월문화예술회관), [안빈낙도](2004, 옥과미술관), [바라보기-자아](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즐거운 상상-조광석ㆍ양문기 2인전](2004, 광주 롯데갤러리), [새로운 만남, 새로운 제안](2004, 조선대미술관), [백학회전](2004 광주광역시청, 2007 광주지하철공사), [생로병사](2005.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남부현대미술제](2005, 광주비엔날레관), 환경미술제(20052006, 광주 롯데갤러리ㆍ옥과미술관), [백화점에 간 미술가들](2005, 광주 롯데갤러리), [사직비둘기의 합창](2005, 광주영상센터), [판도라상자전](2006, 광주 롯데갤러리), [산전수전](2006, 거제문화예술회관), [광주 YOUNG 아트페어](2007, 광주 롯데갤러리), [느티나무프로젝트](2007, 광주 진월동), [예술인네트워크-용옹제를 바라보다](2007, 구 전남도청), [아트로봇](2007,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전라도](2008, 광주 롯데갤러리), [환경테마전](2009, 광주 신세계갤러리), [경계](2009,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청년작가전](2009,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초록메시지](2010, 광주 우제길미술관), [거리 기행전](2010, 광주 대동문화), [다시 사는 삶을 위하여](2010, 광주 신세계갤러리), [디저트](2010, 광주시립미술관), [내 여자](2011,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백화점 속 문화유원지](2011, 광주 신세계갤러리), [에코아트페어](2011, 광주 롯데갤러리), [크게 보기 작게 보기](2012, 광주 신세계갤러리), [‘mountain’ 18인의 시선](2013, 광주 갤러리 아하), [, ](2015, 곡성 전남도립옥과미술관), [예술골목 계림창작촌 입주작가 결과보고전](2015, 광주 은암미술관), [광주청년미술작가회전](2016,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광주 부산 34인의 조각](2016, 광주 무등갤러리), [하류河流-광주시립미술관, 대만 가오슝, 일본 교류전)(2016,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와글와글 어린이놀이터](2017, 광주시립미술관 어린이미술관 앞), [](2019,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공동창작프로젝트-Y, 선택적 미래](2022, 광주 금봉미술관)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작가의 작품세계

    "조광석은 한 공간에서 10년 이상 칩거하며 미학적 고투를 해 온 생활과 작업의 출입구가 동일한 작가로서 가히 생활처럼 작업하고 작업처럼 생활한다. (함께 지내는) 양문기에 의하면 그는 가늘고 길게 사는 사람이다. 그러다보니 우왕좌왕하는 세속의 삶에 조급할 것도 없어 보이고 흉터 투성이의 현실에 합일될 수 없는 자신만의 세계를 지킬 수 있어 보인다. 마치 음유의 독백과도 같이 느릿느릿 이어지는 안빈낙도의 삶이 아닐 수 없다."

    - 이세길(미술평론). 2004년 안빈낙도전(옥과미술관) 전시평문 중

     

    작업실을 자주 옮겨 다닌 생활로 인해 정기적인 일들이나 계획을 꾸리기가 쉽지 않다그래서일까? 막연하게 집(아닉)에 대한 꿈과 욕심이 있다아직은 아니지만 인생에 한 번쯤은 내 집을 내 손으로 지어보는 게 꿈이다그런 바람으로 작업주제도 집을 택했다마치 집을 짓듯이 오늘은 대들보, 내일은 서까래, 모래는추녀”. 하루하루 나무를 만지며 공간을 생각하고 완성될 설치물을 꿈꾸며. 마음 속 내 집을 짓듯 나는 작업을 한다차근차근 집 짓는 과정을 거쳐 고래 등과 같은 집을 완성하듯내 작업들도 힘들고 지루한 공정들이 지나 어느 정도 마음에 드는 설치물이 완성될 듯 싶다집을 좋아하는 만큼 나는 원천적인 자유를 상징하는 물고기가 좋다이번에는 고래다내 집 안마당 마냥 여유롭게 유영하는 고래가 있는 바다신비로운 광경을 꿈꾼다커다란 분수를 뿜으며 치솟는 뒷모습이란이 미끈한 꼬리와 형태를 내가 좋아하는 나무와 함께 담고 싶었다(나무)에 바다(고래)를 심는다나무의 다양한 결과 모양에 또 다른 느낌의 형상을 만들어낸다무리를 이루어 저 멀리 큰 바다를 향해 나아가는 고래 무리를 본다그 속에 숨겨져 있는 또 다른 꿈을 바라본다고래등에 살면서 작업하기를 꿈꾸며!

    - 조광석. 2009년 개인전 작가노트



    연락처

    전남 화순군 능주면 만인리 328-1 청산방

    061-373-8976  / 010-3625-8976 

    namu-boda@hanmail,net


     

    조광석 <어락>, 2004, 목재 설치
    조광석 <어락>, 2004, 목재 설치

    조광석 <생노병사-老>, 2005, 양은폐품
    조광석 <생노병사-老>, 2005, 양은폐품

    조광석 <소년 로봇>, 2007, 양은 리벳
    조광석 <소년 로봇>, 2007, 양은 리벳

    조광석,  2007년 개인전 (전남도립옥과미술관)
    조광석, 2007년 개인전 (전남도립옥과미술관)

    조광석 <타기>, 2007, 나무에 조각
    조광석 <타기>, 2007, 나무에 조각

    조광석 &lt;공유지의 비극&gt;, 2009, 목재 설치
    조광석 <공유지의 비극>, 2009, 목재 설치

    조광석 &lt;수영&gt;, 2009, 목재설치
    조광석 <수영>, 2009, 목재설치

    조광석 &lt;우주&gt;, 2015, 육송
    조광석 <우주>, 2015, 육송

    조광석 &lt;꿈의 순환&gt;, 2019, 목재설치
    조광석 <꿈의 순환>, 2019, 목재설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