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기 > 우리시대의작가들 - 조각/입체조형

본문 바로가기

조각/입체조형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조각/입체조형

    우리시대의작가들 - 조각/입체조형

    이정기

    본문

    약력소개

    회화와 조각, 설치를 병행하는 이정기는 1975년 전남 장성 출생으로 전남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하였다. 그동안 잃어버린 원초성’(2000, 광주 성재미술관), ‘기념비적인 유물’(2007, 광주 우제길미술관), ‘돼지, 꿈을 꾸다!’(2009, 광주 롯데갤러리, 서울 갤러리 A&S), ‘반추적 시선 I’(2013, 부산 파인갤러리), ‘반추적 시선 II’(2013, 광주 금호갤러리), ‘반추적 시선 III’(2014, 화순 경복미술문화원), ‘이 시대의 유물-기록’(2016, 광주 우제길미술관), ‘사과, 맛을 보다’(2016, 순천 도솔갤러리), ‘광주시립미술관 국제창작스튜디오 오픈스튜디오’(2018), ‘시대의 유물을 마주하다’(2018, 광주 예술공간 집), ‘Piggy Dream’(2019, 광주 은암미술관), ‘시대의 유물’(2021, 광주 쌍암공원 별밤미술관), ‘현재인-불확실한 가치’(2022,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현재인-위기의 가능성’(2022, 광주 송정작은미술관), ‘미필적 고의’(2023, 광주 신세계갤러리), ‘미증유의 순간들’(2024, 광주 아크갤러리)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단체전으로는 [백화점 속 문화유원지](2011, 광주 신세계백화점), [소아르 개관기념전](2012, 화순 소아르갤러리), [광주미술상수상작가전](2014, 광주 웆길미술관), [광주조형페스티벌](2016,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트광주16](2016,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에포크 50년을 넘어서다](2016,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추상 그 이후의 추상](2016, 광주 양림미술관), [여수국제아트페스티벌](2016,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트렁크 in AIR PORT-신세계 TOUR](2016, 광주 신세계갤러리), [다므기](2017,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Momoim in Akita](2017, 모모사다갤러리, 아키다공립미술대학 ), [아트광주 17-영 아티스트전](2017,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호남의 현역작가들](2017, 전북도립미술관), [HEXAGON : 경계를 넘다](2017, 조선대 백학미술관), [始作詩作이다](2018, 광주 산수미술관), [신소장품 2017](2018, 광주시립미술관), [2018무등환경미술제](2018,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Bridge](2018, 서울 G&J갤러리), [광주미술 100인의 희망](2018,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오늘이 내일에게](2018, 서울 인사아트센터), [Piggy Dream](2018, 광주 은암미술관), [Contemporary Art in Namdo](2019, 담양 담빛예술창고), [미디어아트X페어](2019, 광주 금호갤러리), [아트광주19 특별전-신진유망작가지원전](2019, 광주 심대중컨벤션센터), [RGB미디어아트그룹 창립전]2019, 광주 국윤미술관), [봄기획전-36.5](2020, 광주 드영미술관), [예술산책2](2020,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조형21회원전](2020, 광주문예회관 갤러리), [신소장품전](2022, 광주시립미술관), [에포크회 60주년전](2024, 광주 무등갤러리), [청류탁세](2024,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광주시립미술관 팔각정스튜디오 입주작가(2003~2005), 전라남도문화예술재단 레지던시(2014, 화순 경복미술문화원), 광주시립미술관 국제레지던시 입주작가(2017~2018), 19회 광주미술상 차석상(2013)·21회 광주미술상 본상(2015), 2회 전국청년작가 미술공모 우수상(2018, 남도문화재단), 광주신세계미술제 대상(2018), 19회 하정웅청년작가 선정(2019) 등을 수상하였다.

    2019년부터 광주미술상운영위원회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시대의 불합리함을 자각함과 동시에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나와 우리를 돌아보는 도구로써 깨진 거울이 그 역할을 하였다면, 이정기가 작품세계의 키워드로 함께 끌고 온 또 다른 테마는 유물이다. 유물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수반하는 개념으로 과거의 삶이 고스란히 응축되어 후대까지 이어진 의미 그대로의 남겨진 물건을 지칭한다. 더불어, 지나간 시간과 지금의 시간, 그리고 다가오는 시간까지의 모든 시공간을 가늠할 수 있는 상징적 사물이기 때문에, 작가 나름 사회적 인과관계를 비유하기에 가장 적합한 대상이었는지도 모른다. 지금 이순간의 우리의 모든 선택과 결정이 앞으로의 세대에 어떠한 결과를 초래할 것인가에 문제를 제기하는 이정기 작가는 유물의 형식을 차용해 작업의 메시지를 풀어나간다. 초창기의 기념비적 유물이 인류의 보편적 가치 상실을 강조하는 측면에서의 은유적 접근이었다면, 근작에서는 보다 즉물적인 형태로 가상의 유물을 만들어낸다.”

    - 고영재 (광주 롯데갤러리 큐레이터)전라도닷컴(2019. 5월호) 작가탐험 글 중

     

    저금통으로서의 의미와 가치가 사라진 돼지저금통 모형은 한 시대의 허구적 유물이라는 가상성을 내포한다. 결국 작품 속 돼지저금통 형상은 기존 의미나 가치가 상실된 그야말로 단순한 사물로서의 형상이 되어 허무하고 무상함을 우회적으로 표현한다. (중략) 작품으로 나타난 현재인은 미증유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유물로 제시하여 보여준다. 사람의 얼굴 형상은 마치 화석과 같은 인상을 주며, 인간 화석이라는 가상의 형상을 담아낸다. 우리 시대의 자화상을 의미하는 현재인은 오래된 화석의 유물을 상기시킴으로써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단순히 현재를 사는 것이 아닌 현재를 어떻게 현대적으로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표현이다.”

    - 이정기 작가노트 중(2024 개인전 팸플릿에서 발췌)



    연락처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1번길20-1

    010-2646-7506

    jg0422@hanmail.net

    이정기 <흔적의 비밀>, 2000, 캔버스에 유채
    이정기 <흔적의 비밀>, 2000, 캔버스에 유채

    이정기 &lt;piggy bank&gt;, 2009, 캔버스에 유채, 80.3X60.6cm
    이정기 <piggy bank>, 2009, 캔버스에 유채, 80.3X60.6cm

    이정기 &lt;어머니, 아버지를 기록하는 방법&gt;, 2016, 캔버스에 유채, 130.3x162cm
    이정기 <어머니, 아버지를 기록하는 방법>, 2016, 캔버스에 유채, 130.3x162cm

    이정기 <단장(斷腸)의 애(哀)>, 2016, 입체에 비디오 투사 설치, 4분 7초
    이정기 <단장(斷腸)의 애(哀)>, 2016, 입체에 비디오 투사 설치, 4분 7초

    이정기 <어머니>, 2018, 캔버스에 유채
    이정기 <어머니>, 2018, 캔버스에 유채

    이정기 &lt;사과, 맛을 보다!&gt;, 2016, 석고, 아크릴릭, 거울, 60x60x60cm
    이정기 <사과, 맛을 보다!>, 2016, 석고, 아크릴릭, 거울, 60x60x60cm

    이정기 &lt;piggybank, Piggy Dream&gt;, 2019, 석고, 거울, 나무상자 설치
    이정기 <piggybank, Piggy Dream>, 2019, 석고, 거울, 나무상자 설치

    이정기 &lt;우연한 발견 2&gt;, 2024, 시멘트 몰타르, 86x70.5cm
    이정기 <우연한 발견 2>, 2024, 시멘트 몰타르, 86x70.5cm

    이정기 <사물의 풍경 2>, 2024, 시멘트몰타르, 70.5x86x140cm
    이정기 <사물의 풍경 2>, 2024, 시멘트몰타르, 70.5x86x140c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