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찬 > 우리시대의작가들 - 공예

본문 바로가기

공예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공예

    우리시대의작가들 - 공예

    김기찬

    본문

    약력소개

    분청도자와 백자항아리를 주로 제작하며 청광도예공방을 운영하는 도예가 김기찬은 전남 영암 출생으로 조선대학교 응용미술학과와 조선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99년 첫 도예전(서울 동인화랑)을 시작으로, 2005(순천문화예술회관), ‘수월관음을 기다리며’(2011, 보성 갤러리 re), ‘지역 출신작가 인트로전-김기찬’(2019, 영암도기박물관), ‘말년의 양식-김기찬 도자기전’(2022, 보성 갤러리 re), ‘김기찬 당항아리전’(2025, 순천 국립순천대학교박물관)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젊은 시각이 만난 구림도자기전](영암도기문화센터), [흙과 사발](영암도기문화센터), [디자인과 작가의 만남](광주 서구문화센터), [목포도자기축제 초대전]( ), [디자인, 도조 5인전](광주 나일갤러리), [전통공예작품전](2008, 보성군 공예공방), [달빛 담은 영암도기-도예작가 초대 워크숍](2009, 영암도기문화센터), [덤벙분청 찻그릇전](2009,광주 무등현대미술관), [도자, 색을 탐하다](2014, 영암도기박물관), [다른 표현 같은 생각](2015, 영암도기박물관), [보성 여름그릇전](2009~, 보성군공예공방), [보성세계차박람회](2015,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 한잔의 즐거움](2017, 광주문화예술회관 갤러리), [보성 여름 그릇전](2017, 보성 갤러리re), [광주 대표음식 & 전라도그릇 콜라보전](2019, 광주 남도향토음식박물관), [빚다, 그릇](2019, 보성 한국차박물관), [9인의 세라미스트 남도행전](2020, 서울 한국문화정품관 갤러리), [월출산 만월 : 달항아리 특별전](2024, 영암도기박물관) 등에 참여하였다.

    국립순천대학교 평생교육원에 출강하였고, 광주미술협회, 광주전남디자인협회, 신도예회, 원봉회, 보성분청사기협회 등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그의 달항아리 작업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특징은 덤벙방식이다. 덤벙은 작품의 외양을 결정하는 유약작업의 한 방식. 특히 김기찬이 공방을 열고 작업해 온 전남 보성지역에서 오래전부터 계승돼 보성의 지역적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방식이다. 덤벙은 건조되지 않은 작품을 화장토에 덤벙 담군 다음 꺼내는 과정이다. 도자기의 발굽까지 몸뚱이 전체에 유약이 한꺼번에 발라지게 된다. 앞서 언급한 대로 달항아리는 일반 도예품보다 크기가 큰 편이다. 어른이 두 팔로 감싸 안아야 할 정도로 볼륨이 있고 높이도 만만치 않아 작업 과정 자체가 상당한 기술을 요구한다. 점토를 다지고 물레를 돌려 빚은 초기 달항아리는 그 흙 자체의 무게와 물을 많이 먹기 때문에 한 번에 덤벙작업을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김기찬은 덤벙방식의 효과를 그대로 살리고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했다. 그것이 스프레이 방식이다. 일종의 진화된, 현대화된 덤벙기법으로 보인다. 나무를 태운 재를 물에 풀어 만든 유약을 압축식 스프레이로 달항아리 표면에 고루 뿌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덤벙기법처럼 유약이 잘 발라지고 백자보다 투박한 질감이 느껴지는 달항아리가 탄생한다.

    - 김옥조 (미술평론), [월간도예] 2011.6월호에서 발췌



    연락처

    전남 보성군 사동길 52-11 청광도예원

    062-853-4125

    (010-6566-4125)

    김기찬, 덤벙분청다반(2인용), 청자유, 재유
    김기찬, 덤벙분청다반(2인용), 청자유, 재유

    김기찬, 다구
    김기찬, 다구

    김기찬, 분청단지
    김기찬, 분청단지

    김기찬, 분청항아리
    김기찬, 분청항아리

    김기찬, 달항아리
    김기찬, 달항아리

    김기찬, 달항아리
    김기찬, 달항아리

    김기찬, 백자 달항아리
    김기찬, 백자 달항아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