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연 >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본문 바로가기

설치/영상/기타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설치/영상/기타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김주연

    본문

    약력소개

    김주연은 1964년 광주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에서 회화를 전공한 뒤 베를린국립예술대학교 순수조형예술대학과를 거쳐 동 대학에서 마이스터슐러린을 취득하였다. 1992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異熟프로젝트’(2002, 서울 사루비아다방), ‘일상의 성소’(2005, 서울 포스코미술관), 'Metamorphosis'(2008, 서울 갤러리쿤스트독), 'Metamorphosis Ⅲ'(2009,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이숙 VII’(2010, 광주롯데갤러리), ‘기억공작소-유기체적 풍경’(2013, 대구 봉산문화회관), ‘일상의 성소’(2013, 제주 대동호텔 비아아트), ‘Metamorphosis VII’(담양 대담갤러리), ‘이숙 Matamorphosis'(2014, 도쿄 브로켄갤러리), ’유기체적 풍경‘(2015,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자갈마당‘(2018, 대구 자갈마당아트스페이스), ’Blooming Love‘(2022, 서울 일호갤러리)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단체전으로는 [공간의 여행](2003, 광주 영은미술관), [집의 숨 집의 결](2004, 영암도시문화센터), [자연과의 대화](2004, 아오모리현대미술관), [5회 광주비엔날레 Site 2 : 한국특급](2004, 광주시립미술관 교육홍보관),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2005, 안양유원지), [메르츠의 방](2006, 서울시립미술관), [오월의 발견](2007, 광주 5·18기념재단), [인간과 환경의 교집합](2007, 가평 가일미술관), [성촌마을에 달이 뜨다](2008,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언니가 돌아왔다](2008, 경기도립미술관), [생성과 순환](2009,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환태평양의 눈:숨비소리] (2009, 제주도립미술관),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2010, 울산 태화강생태공원), [금강자연비엔날레](2010, 공주 연미산자연공원), [오월의 꽃](2010, 광주시립미술관), [거시기하시죠](2011, 광주 쿤스트할레), [Nature](2012, 남양주 모한미술관), [2012광주비엔날레](2012, 광주 무각사로터스갤러리), [공존의 시간](2015, 광주 국윤미술관), [한중현대미술전](2016, 광저우), [생태미술2017: 공존순환](2017, 제주현대미술관), [풀풀풀](2017, 대구신세계갤러리), [동아시아 현대미술전-BOTANIA](2018, 부산시립미술관), [부드러운 권력](2018, 청주시립미술관), [Contemporary Art in Namdo](2019, 담양 담빛예술창고), [식물이 있는 풍경](2019, 광주신세계갤러리), [존재와 무 사이](2021,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생동하는 기억, 감각의 은유](2022, 광주 이강하미술관), [생태미술프로젝트](2023, 광주시립미술관), [자연을 위한 자연에 대한 서사](2023,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생성 Generative Mind](2024, 화순군최상준미술관)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독일 Karl-Hofer재단과 Kuenstlerthaus Schloss Plueschow, Kuenstlerthaus Kloster Cismar, 영은미술관 경안창작스튜디오, 아오모리현대미술관, 창동미술창작스튜디오, 광주 대인예술시장 레지던시. 남극 극지 노마딕 예술가 레지던시 등의 작가로 참여했다. 



    작가의 작품세계

    김주연의 작업은 여러 다양한 개념들 속에서 진척돼 왔지만, 작업 전체를 지배하는 핵심개념은 이숙(異熟)일 것이다. 이숙이란 다른 종류의 성장이나 다른 방식의 성숙을 뜻하는 불교용어다. 여기에는 저마다의 삶의 방식이 존중돼야 한다는 차이에 대한 인식이 내재돼 있다이숙이란 말에는 존재론적 자의식과 더불어 이에 대한 심각한 자기반성이 내재돼 있다. 따라서 그 개념은 자연스레 불교의 또 다른 핵심개념인 진아(眞我)와 맞물린다

    김주연은 국내에서는 거의 유일하다시피 한 소위 살아있는 미술을 실천하는 작가다. 식물을 키우면서 그것이 생장하고 소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가의 작업은 생태담론과 여성주의 담론과 맞물리며, 그 외연은 개인사적인 일화와 함께 사회학적 의미를 아우른다. 이처럼 외연을 확장시켜 주는 계기가 이숙인데, 드레스와 브래지어, 외투와 침대, 초막과 신문 등으로 숙주를 옮아가면서 매번 새로운 의미를 탄생시키고 다른 삶의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자연의 생성원리와 순환원리 그리고 재생원리를 곱씹게 만들며, 무엇보다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제고하게 만든다.”

    - 고충환의 2008년 갤러리쿤스트독 개인전 서문에서 발췌



    연락처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 327-10, 2

    010-9885-9978 / feelearth@naver.com

    김주연 <이숙 異熟>, 2002
    김주연 <이숙 異熟>, 2002

    김주연 &lt;이숙異熟-자라나는 침대&gt;, 2004
    김주연 <이숙異熟-자라나는 침대>, 2004

    김주연 &lt;Metamorphosis III&gt;, 2009, 비계구조물, 신문, 씨앗, 360cm(h)x170cm(l)x250cm(w)
    김주연 <Metamorphosis III>, 2009, 비계구조물, 신문, 씨앗, 360cm(h)x170cm(l)x250cm(w)

    김주연 <기억 지우기>, 2012, 소금
    김주연 <기억 지우기>, 2012, 소금

    김주연 <존재의 가벼움>, 2015
    김주연 <존재의 가벼움>, 2015

    김주연 &lt;유기체적 풍경&gt;, 2015, 피그먼트 프린트, 91x139cm
    김주연 <유기체적 풍경>, 2015, 피그먼트 프린트, 91x139cm

    김주연 <Re-turn 1998>, 2021, 농경지 오브제들
    김주연 <Re-turn 1998>, 2021, 농경지 오브제들

    김주연 &lt;Metamorphosis IX&gt;, 2024, 나무패널, 신문, 이끼, 562x236x132.8cm
    김주연 <Metamorphosis IX>, 2024, 나무패널, 신문, 이끼, 562x236x132.8c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4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