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승찬 관련링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약력소개 복합매체 설치작업을 주로 하는 권승찬은 1973년 장흥 출생으로 호남대학교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개인전으로 ‘권모?수-권승찬의 진솔한 모습을 ?(묻는) 수고스런’(2003, 광주 인재아트센터), ‘자취의 현대사’(2008, 서울 갤러리보다), ‘눈알 빠지는 11일간의 막노동 레지던시’(2008, 광주 롯데화랑), ‘재활용; 재구성’(2013, 광주 무등현대미술관), ‘열꽃-완성은 허무하고 높은 것은 불안하다!’(2014, Unit One Gallery), ‘대충-권승찬전’(2014, 북경 KCAA Kong Space), ‘멀티미디어전’(2016, 광주 가톨릭평생교육원 갤러리 현, 지하), ‘잇다’(2018,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 무등도요), ‘공간의 빛’(2019, 광주 무등도요), ‘드로잉 일상전’(2021, 광주 예술공간 집) 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깃발미술제](1999, 서울 여의도공원), [인간의 숲 회화의 숲](2000, 제3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광주 중외공원), [작은 그림 작은 실천](2001, 서울 롯데월드갤러리), [고속질주](2002, 광주시립미술관), [젊은 예술가의 초상](2002, 광주 신세계갤러리), [근:하-구년謹賀舊年](2003, 광주 모던-바 먼로), [제5회 광주비엔날레 현장전- ‘그 밖의 어떤 것’](2004, 광주 5ㆍ18자유공원), [환경미술제](2005, 곡성 옥과미술관), [쇼핑/쇼킹-백화점에 간 미술가들](2005, 광주 롯데백화점), [장터-국밥전](2006, 광주 말바우시장), [제6회 광주비엔날레 시민참여프로그램-미술오케스트라](2006, 광주시립미술관), [와유하는 터미널](2006, 전주 고속버스터미널), [중흥동 공공미술프로젝트](2006, 광주 중흥3동), [달콤 쌉싸름](2006, 광주 신세계갤러리), [황금돼지전](2007,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의재창작스튜디오 오픈스튜디오](2007, 광주 구 전남도청), [제7회 광주비엔날레-복덕방프로젝트](2008, 광주 대인시장), [세일](2009,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디지페스타](2010,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내 여자](2011, 광주 무등현대미술관),[백화점 속 문화유원지](2011, 광주 신세계갤러리), [제13회 광주신세계미술제](2011, 광주 신세계갤러리),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 빛 2012](2012, 광주시립미술관), [팔로우](2013, 광주 아시아문화마루), [북경창작센터6기 입주작가발표전](2014, 북경798 포스갤러리), [Dialogue](2015, 북경 99미술관), [어린이들을 위한 성찬](2015, 전북도립미술관), [Beyond Control](2015, 북경 798 통갤러리), [헬로우아트](2015, 광주시립미술관), [한중교류전](2015, 담양 담빛예술창고),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15, 광주문화재단), [북경질주](2016, 광주시립미술관 상록전시관), [2016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16, 광주문화재단 주차장), [삿포로눈축제-유키테라스 이글루전](2017), [시작始作이 시작詩作이다](2018, 광주 산수미술관), [한중교류전](2018, 광주 의재미술관), [독선기신-한중작가전](2018,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각자의 시선](2019,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창조원), [인도네시아현대도자비엔날레](2019, Jatiwangi Art Factory), [더 벙커](2020, 광주문화재단 아트스페이스), [MaytoDay](2020, 서울 아트선재,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창조원), [생동하는 기억, 감각의 은유](2022, 광주 이강하미술관), [두번째 봄](2022, 광주시립미술관), [담양아트위크-유유자적](2022, 담양 다미담예술구), [청류탁세](2024,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창조원)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또한 바셀린프로젝트-소출력 라디오방송국(2006-2010, 광주·안양·서울·안산·성남·담양 등), OK공공프로젝트-공공식당·공공디자인·공공옥상 등(2009-2010, 광주 대인시장), 이주민라디오방송국(2015, 광주일원)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의재창작스튜디오 국제 레지던시(2007), 안양 스톤앤워터 국제레지던시(2007), 광주 대인예술시장 레지던시(2008-09), 광주시립미술관 팔각정창작스튜디오(2010), 아트로드 창작공방(2011, 광주 예술의거리), 아시아문화예술인 레지던시(2011-2012), 광주문화재단 미디어아트레지던시(2012-2013), 광주시립미술관 북경창작스튜디오(2014), 광주문화재단 미디어아트레지던시(2015), 타이난 샤울롱 아티스트빌리지(2022) 등의 입주작가였다. 제24회 광주미술상(2018)을 수상하였다. 작가의 작품세계 '제 얘기는 콤플렉스에서 시작됩니다. 이를테면, 학력에 대한 콤플렉스, 성격에 대한 콤플렉스, 가정환경에 대한 콤플렉스……. 이런 것이 작업 안에 본격적으로 스며든 것은 대학 졸업 이후의 시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가 그동안 주거공간에 대한 작업을 계속 해왔거든요. 공간에 대한 문화적·사회적 해석을 작업으로 풀어 나간 거죠… 원활하지 못했던 언어구사 능력이 작품을 통해서 간결한 텍스트로 관객과 소통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지요. 이것도 아마 저의 콤플렉스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미지가 지시하는 것을 다시 중복해서 텍스트가 지시하는 식의 전략적 방법일 수도 있고요…' - 2007년 의재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인터뷰(인터뷰어 유승덕) 중 발췌 ‘<완성은 허무하고 높은 것은 불안하다>는 주위에 가장 흔하게 쓰이는 물건, 혹은 방치되어 있는 물건과 중국에서 사용하고 버릴 쓰레기들을 조합해 완성하는 형태로, 사람들의 어떤 피상적인 형태, 부피, 수량에 대한 내재된 욕구와 욕망을 표현한 미디어설치작업이다. … <좋은 친구들>은 외국작가와 만남을 통해 작품제작과 가격산출에 직접적인 개입이 이루어짐으로써 완성된다. 중국에서 만난 작가들에게 나의 콤플렉스가 사실적으로 기록된 문서를 제시한 후 함께 폴라로이드 사진을 촬영하여 문서와 필름에 서명을 받는다. 그리고 그 참여작가가 제시한 가격이 이 작품의 판매가격이 되는 개념으로 중국에 있는 기간 동안 만남을 지속하였다.…' - 작가노트(2015-2015북경질주전 도록, 2016. 2) 연락처 광주광역시 서구 월드컵4강로 22 염주현대아파트 102-704 010-2786-5190 cv7319@gmail.com 권승창 <갖고 싶다>, 2005, 혼합매체 설치권승찬 <That Place>, 2011, 사진, 컴퓨터 설치권승찬 <박제된 시간들>, 2012, 혼합매체 설치권승찬 <좌불안석>, 2013, 혼합매체 설치권승찬 <Self-improvement>, 2013, CRT모니터, T5 형광등, 혼합매체 설치권승찬, 2016, 광주 가톨릭평생교육원 지하통로 네온피스 설치권승찬 <잇다>, 2018, 광주 무등도요 설치권승찬 <무릉도원>, 2018, 혼합매체 설치권승찬, 2022, 혼합매체 설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