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유자 >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본문 바로가기

설치/영상/기타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설치/영상/기타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안유자

    본문

    약력소개

    첨단 광소재와 뉴미디어를 활용한 공간설치작업을 주로 하는 안유자는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과 학위 취득 후 미디어아트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개인전은 1988년 고흥 녹동우체국 전시를 시작으로 1995(광주 현산갤러리), 2000(광주 캠브리지갤러리), 2001(광주 궁전갤러리), ‘Now and Here-Me’(2004, 동경 청화Gallery), ‘공간의 사유-빛으로’(2007, 광주 조선대학교미술관, 북구청갤러리), ‘평면에서 3D형태와 공간형성-빛으로’(2012, 광주 시안갤러리), ‘국제Light비전엑스포-국제광산업전‘(2012,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12회 국제 LED & OLED Expo’(2014, 일산 킨텍스), ’안유자 미디어아트전’(2015, 고흥 도화헌미술관), ‘빛의 환타지아 3D세계’(2017, 광주 빛고을아트스페이스), ‘미디어아트레지던시 오픈스튜디오’(2018, 광주문화재단 레지던스) 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그룹S.A.A 현장전](2004, 광주 빅젠미용실), [2004 베이징 인터네셔널 아트페어](2004, 북경 중국무역센터), [5회 광주비엔날레 '정은미용실 Project'](2004,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미디어아트전 ‘Half’](2005, 전주 전북학생회관), [현대미술영상설치전](2005, 대구 문화예술회관), [여성의 힘](2005, 광주 조선대학교미술관), [광산업과 문화예술의 만남](2006, 광주디자인센터), [미디어아트 페스티벌](2006, 안산 단원전시관), [현대매체미술 Light](2006, 성남아트센터), [6회 광주비엔날레-3섹터 시민프로그램 빛만들기’(2006, 광주 비엔날레 테마파크), [세계 빛 엑스포 빛 그리고 환경’](2006, 심양 치판사공원), [투영: 한국현대예술제](2006, 타이페이 국립대만미술관), [미술 속의 성-금기의 아름다움](2007, 대구 두산아트센터), [역대 광주비엔날레 지역참여작가 근작전](2008, 광주 비엔날레전시관), [2008대구아트페어](2008, 대구 EXCO), [북경올림픽기념 초대전](2008, 북경 DA SHANZI ART CENTER), [해밀](2008, 서울 갤러리라이트),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아트페어 AHAF(2009, 서울 신라호텔), [2009서울아트페어 SOAF](2009), [달리는 사람들](2009, 광주 나인갤러리), [광주 세계엑스포 시민파빌리온-Life Story](2009, 광주 상무공원), [전국 미디어아트 작가초대전-‘현실과 은유의 경계’](2010, 광주 조선대학교미술관), [1회 아트광주](2010,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2010 ART ASIA 마이애미 아트페어](2010), [이전개관 초대전](2010, 서울 메이준갤러리 ), [작은 그림 큰 기쁨](2011, 광주 시안갤러리), [아트울산2011-](2011, 울산 MBC), [광주미디어아트 창의포럼 창립 기념전](2012, 광주 시청자미디어센터), [2회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13, 광주문화재단), [빛으로 만드는 미술-자연과 빛의 설치까지](2014, 완주 VM미술관), [살아있는 미술관ㄴ-행복나라 양평](2014, 양평군립미술관), [국제광산업전시회](2014,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4회 전남레지던스아트페어](2014, 무안승달문화회관), [아트광주15](2015,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아트블루](2015, 여수), [컨템포라리아트 담빛미래를 열다](2016, 담양 담빛예술창고), [창작공간페스티벌 SENSIBLE REALITY](2016, 서울시청 시민청), [무등산에서 미디어아트](2016, 광주 카페커볶), [The Bridge](2017, 광주문화재단 아트스페이스), [미디어아트 인 울산](2017, 울산문화예술회관), [찬란한 존재의 빛](2018, 광주문화재단 미디어338), [빛의 파라다이스](2018, 양평군립미술관), [공간 속 미디어아트](2019, 광주문화재단), [아트X페어](2019, 광주 금호갤러리), [더 벙커](2020, 광주문화재단 아트스페이스) 등의 전시에 출품하였다.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과 겸임교수, 전남도청 공공디자인 자문위원이었고, 현재 미디어작가이면서 야간경관조명 디자이너로 아텍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인간은 빛이 아름다운 환상적인 풍경을 동경한다. 어린 시절 강변에서 보았던 연초록빛 반딧불이나 늦은 밤하늘의 은하수 무리들 그리고 눈부시게 아름다운 바닷가의 불꽃 등... 그 감동의 기억들을 좇아서 빛으로 표현하고 있다. 친환경 절전 광소자인 LED(Light Emmiting Diode) 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변화되는 빛의 프로그램을 작품에 도입하고 감상의 시선의 방향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변화의 착시효과를 만들어 평면의 2차원적 현실의 경계를 뛰어넘어 마치 그 상황 안에 있는 느낌으로 3D형태와 공간으로 환상적인 풍경을 경험하게 한다. 오늘날 대중은 핸드폰, 컴퓨터, 영상매체 등을 통해서 다양한 미디어 세상에 있으며 예술과 영화계에서는 빠른 속도감으로 5D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광산업 클러스터 지역인 첨단산업단지에서 광산업인 LED와 광섬유의 빛을 활용하여 전기 전자 기술과 물질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연구진과 상호 협력시스템을 구축하여 여러 실험적 연구를 토대로 작업하고 있다.' 

    안유자 (2012년 3월 작가노트)



    연락처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208번길 50(오룡동) 조선대학교 BI센터 103호 아텍

    010-2734-9617

    bluefree22@hanmail.net

    안유자 <기운생동>, 2005, 아크릴판에 LED
    안유자 <기운생동>, 2005, 아크릴판에 LED

    안유자 &lt;Now and Here-Me&gt;, 2005, CD롬, 혼합재 설치
    안유자 <Now and Here-Me>, 2005, CD롬, 혼합재 설치

    안유자 &lt;Now and Here-Me&gt;, 2006, CD롬, 혼합재
    안유자 <Now and Here-Me>, 2006, CD롬, 혼합재

    안유자 <기운생동>, 2007, LED, 혼합재
    안유자 <기운생동>, 2007, LED, 혼합재

    안유자 <비너스의 재탄생>, 2010~2011, 렌티큘라, LED 등, 80x58cm
    안유자 <비너스의 재탄생>, 2010~2011, 렌티큘라, LED 등, 80x58cm

    안유자 <Life Story 1>, 2010~2011, 렌티큘라, LED 등,  113x163cm
    안유자 <Life Story 1>, 2010~2011, 렌티큘라, LED 등, 113x163cm

    안유자, 2014, LED
    안유자, 2014, LED

    안유자 &lt;파체(破涕)1&gt;, 2016, 아크릴, LED, 105x89cm
    안유자 <파체(破涕)1>, 2016, 아크릴, LED, 105x89cm

    안유자 &lt;찬란한 존재의 빛&gt;, 2018
    안유자 <찬란한 존재의 빛>, 20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