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덕용 >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본문 바로가기

설치/영상/기타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설치/영상/기타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정덕용

    본문

    약력소개

    입체조형 설치와 영상작업을 주로 하는 정덕용은 1995년 경기도 성남 출생으로 조선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현대조형미디어 전공)를 졸업하였다.

    2020관찰자 : 끓어오르는 것들’(화순 소아르미술관)을 첫 발표전을 가진 이후 문득’(2021, 순천 기억의 집), ‘녹색언덕, 그늘진 곳엔 볕이 들지 않아서’(2022, 광주 아크갤러리)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단체전으로는 [머피스 창립전](2019, 광주 야크갤러리), [미디어아트X](2019, 광주 금호갤러리), [앞만 보고 걸어가는 불나비](2019, 광주 오버랩), [마법같은 현실, 매트릭스](2020, 담양 해동문화예술촌), [기억의 경계](2020, 부산 오픈아트스페이스 머지), [콘크리토피아](2020, 광주 미로센터), [발화하는 씨앗](2020, 광주 은암미술관), [불안의 닻](2020,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둥글게 둥글게는 아니고](2020, 광주 야크갤러리), [불가능을 통해 약속된 가능성](2020, 광주 이강하미술관, 2021, 서울 스페이스 나인), [믿음](2020, 광주 반도전자상가), [상대적 표류기](2021, 순천 기억공장1945), [무의식의 그림자](2021, 광주 드영미술관), [진정성 해방](2021, 광주 산수싸리), [비니루-하우스](2021, 광주 소촌아트팩토리), [36.5](2021, 광주 산수싸리), [분하는 뭉치는 극담하는 무릅쓰는 넘나드는 세우는](2022, 광주 비바아트스페이스), [이음프로젝트 ver.2 ‘ ’](2022, 광주 산수싸리), [로스트토포필리아](2022, 광주 산수싸리), [Multi-RPG](2022, 광주문화재단 미디어338), [Pictures](2022, 광주 신세계갤러리), [지속되는 과정, 배설되는 과제](2023, 광주 시민갤러리) [하이퍼이미지시대의 미술](2023,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 [결백하진 않아도 그러니깐 순수하잖아요](2023, 광주 옛 월산동파출소), [마고의 흔적은 누군가의 기적이 되고](2024, 화순 태곳미술관), [25회 광주신세계미술제 1차 선정작가전](2024, 광주 신세계갤러리)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대인예술시장 묘수(2020), 순천창작예술촌(2021), 광주문화재단 미디어아트 국제레지던시(2022), 산수싸리 파출소레지던시(2023) 입주작가였고, 현재 광주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정덕용은 작업의 외적 형상을 통해 어떤 명확한 큰 메시지보다는 를 통해서 세상을 비추고 자신을 대상화하여 또 다른 사회현상을 볼 수 있는, 그래서 현재 혹은 미래에도 그늘을 비추는 현 시대상을 작업에 담고자 했다. 작가의 시선은 늘 현재에서 또 다른 세계이자 이상향을 향해있는 것 같았다. 과거엔 그것이 스스로 망상적이라 생각했었고, 그 망상은 예술적 상상력으로 작용했다. 어딘가에 떠돌았을 또 다른 자신이 만들어낸 세계, 공간을 작품으로 재구상했다. 삶 속에서 작가를 둘러싼 이어지고 끊어지는 기억과 상처, 가족, 사람들과의 관계, 그것이 어떻게 작업 속에서 형상으로 구현되는가. 작가는 불완전함을 작품으로 구현하여 기억과 관계를 회복하고 미래를 받아들이는 새로운 문을 조심스럽게 연다. 정덕용은 실재가 없는 실재를 증명하는 창작자로서 사회의 문제들을 어떻게 다루고 있을까. 작가는 과거 개인적 사연이 특별한 것이 아닌 주위에 흔하게 누군가에게도 일어나고 혹은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라는 것을, 작품을 통해 깨닫게 되었다. 자신의 상처 혹은 치부를 드러내고 타자 혹은 관객과 공유하며 현 시대상의 문제점과 인간의 나약함을 보여줄 수 있는 작업을 시작하였고, 이는 최근의 작업까지 이어진다. 과거 기억의 편린을 확장해 사회 문제와 연결하면서, 현실의 부조리를 꼬집는 작업을 구현해 자신의 이야기를 더 솔직하고 담담하게 전시장에 꺼내어 놓는다.

    - 이 선 (이강하미술관 학예실장), 아트 인 컬처, 2024.12월호 중



    연락처

    010-4124-5486

    jdy2982@gmail.com

    정덕용 <How to Clean>, 2019, 단채널 비디오
    정덕용 <How to Clean>, 2019, 단채널 비디오

    정덕용 &lt;Garbologist&gt;, 2020, 단채널 비디오
    정덕용 <Garbologist>, 2020, 단채널 비디오

    정덕용 &lt;누군가를 위한 변주곡&gt;, 2020, 혼합재, 사운드
    정덕용 <누군가를 위한 변주곡>, 2020, 혼합재, 사운드

    정덕용 &lt;그늘진 곳엔 볕이 들지 않아서&gt;, 2022, 혼합재 설치
    정덕용 <그늘진 곳엔 볕이 들지 않아서>, 2022, 혼합재 설치

    정덕용 &lt;연민으로 짓누르기&gt;, 2022, 2채널 비디오
    정덕용 <연민으로 짓누르기>, 2022, 2채널 비디오

    정덕용 &lt;벌레의 시선은 밖을 향한다&gt;, 2022, 혼합재 설치
    정덕용 <벌레의 시선은 밖을 향한다>, 2022, 혼합재 설치

    정덕용 &lt;하찮은 의미로 끼워 맞추며&gt;, 2023, 혼합재 설치
    정덕용 <하찮은 의미로 끼워 맞추며>, 2023, 혼합재 설치

    정덕용 &lt;존재한다는 것은 불안하게도 누군가의 어깨를 바라보는 것&gt;, 2024, 혼합재 설치
    정덕용 <존재한다는 것은 불안하게도 누군가의 어깨를 바라보는 것>, 2024, 혼합재 설치

    정덕용 &lt;낯선 공기가 손 끝에 자리할 때&gt;, 2024, 혼합재 설치
    정덕용 <낯선 공기가 손 끝에 자리할 때>, 2024, 혼합재 설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