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승 관련링크 다음글 목록 본문 약력소개 주로 소외된 여성의 삶과 관련된 사회의 그늘을 회화와 미디어 영상, 설치 등 복합매체로 비춰내는 정유승은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조소 전공)를 졸업하였다. 그동안 개인전으로 2015년 ‘유블랜드’(광주 대안공간 미테우그로)를 비롯, ‘누군가의 천장’(2016, 광주 지구발전오라), ‘유블레옥잠; 부유하는 잉여청년’(2017, 광주 지구발전오라), ‘정제도시’(2020, 광주 맥거핀), ‘황금동여성들-물피염](2022, 광주 산수싸리), ‘삶의 터전’(2023, 광주 여성전시관) 등의 작품전을 가졌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사적 감성의 폭력성](2014, 광주문화재단 미디어338), [액막이](2015, 광주 대인예술시장 다다스튜디오), [7+2 동행](2015, 광주 한평갤러리), [박화연 정유승 2인전-이 꼴을 하고서](2017, 광주여성재단 전시관), [아트 세일 페스타; noma + jean](2017, 광주 롯데갤러리), [( )과 그 이후](2018, 광주 지구발전오라), [무형, 디지털, 파인아트& 페어](2018, 광주 지구발전오라), [제12회 광주비엔날레](2018,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대인동 인권ON돌방](2019, 광주 대인동 영빈관), [퍼폼2019: 린킨아웃](2019,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서울 일민미술관), [동행-예술가와 함께](2020, 광주 신세계갤러리), [불가능을 통해 약속된 가능성](2020 광주 이강하미술관, 2021 서울 스페이스 나인), [빈집_상실 이후에 쓰는 사랑](2021, 광주 월산동), [젠가: 집결지 위의 도시](2021, 광주여성가족재단 허스토리 전시관), [접촉과 접속](2021, 광주 지구발전오라), [나는 청년예술가입니다](2021, 광주 뽕뽕브릿지), [기후정의와 모두의 예술](2022, 광주 가톨릭평생교육원), [노동, 불온하지 않은 미래?!](2022, 전태일기념관), [블라인드: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다](2022, 광주 산수싸리), [시다의 노래](2022 광주 호랑가시나무아트폴리곤, 서울 스페이스9), [잘 진 싸움과 지지않은 싸움을 위하여](2022, 광주 호랑가시나무아트폴리곤), [‘함께 숨쉬기’ 아트페어](2022, 나주 한국전력거래소 로비), [함께 숨쉬기 프로젝트])2023, 나주 천연염색박물관), [제2회 양림골목비엔날레](2023, 광주 GPUL하우스), [Talking Exhibition](2024, 광주 10년후그라운드) 등에 참여하였다. 작가의 작품세계 “정유승 작가는 설치미술을 통해 사회적인 약자에 대한 자신의 사고를 바탕으로 창작에 임한다. 사회적인 약자는 자신이기도 했다. 창작에 있어서 그러한 이들에게 공간을 만들어주고 싶었다. 절대적인 사회구조로부터 자유로운 그것이 유블랜드이다. 이러한 작품들의 시작은 자신이 느꼈던 사회구조 속 차별, 불평등, 부조리에 대한 것이다. 또한 성매매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영상매체와 설치작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하는 작업을 해 왔다. 작가는 성매매 집결지의 역사와 공간, 그리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하는 작업에 천착해 온 것이다. 정유승 작가는 사실을 기록하고 수집하여 전달한다. 주관적인 견해는 최대한 배제한다. 그 이후부터는 작품을 접하는 사람의 몫이다. 작품에 대한 해석은 보는 사람만큼의 수가 될 것이다.” - 신 훈 (미술사), 2022년 광주비엔날레 GB스튜디오탐방 작가비평 중 연락처 010-4943-7242 정유승 <유블랜드>, 2015정유승 <황금동 여성들>, 2018정유승 <집결지의 낮과 밤>, 2018정유승 <2003년 3월 23일>, 2018정유승 <중흥동 성매매 집결지>, 2020, 사진정유승 <55만 2천 8백 3십원>, 2020, 캔트지에 로열파스텔정유승 '빈집, 상실 이후에 쓰는 사랑' 전시 중 (월산동)정유승 <Step for Green>, 2022, 철제 프레임, 비누정유승 <금례마켓>, 2023, 야채 / <여성농민의 호미장>, 2022, 농기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