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일구 >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본문 바로가기

설치/영상/기타

Home > 작가와 미술현장 > 설치/영상/기타

    우리시대의작가들 - 설치/영상/기타

    박일구

    본문

    약력소개

    사진작가 박일구는 1968년 신안 출생으로 조선대학교 사학과(1993)와 광주대학교 사진학과(1998)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2005)하였다.

    개인전은 백제를 지키는 옛탑’(1999 광주 롯데화랑, 2000 서남미술관), ‘The South Sea’(2007 서울 PICI갤러리), 2008, 2011, 광주 신세계갤러리), ‘환경의날 기획-With Sea’(2011, 광주 신세계갤러리), ‘The South Sea’(2012, 부산 센텀시티), ‘하늘과 땅 사이, 바다를 담다](2013, 광주 515갤러리), ‘남도의 바다를 색으로 추상하다’(2015, 광주 로터스갤러리), ‘The Scene, 사라지고도 남겨진’(2018, 광주 예술공간 집), ‘바다로 가는 길’(2020, 광주시립미술관 사진전시관) 등의 작품전을 열었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남도인의 초상](2000, 광주 신세계갤러리), [한국사진의 과거와 현재](2005, 서울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열다섯마을이야기](2005, 광주 옛 전남도청), [남도문화의 원류를 찾아서-섬 역사문화기행전](2006, 광주 신세계갤러리), [미술관 카바레](2006,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우리 땅 우리 민족의 숨결](2007,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미술 현장](2007, 광주시립미술관), [그 풍경을 이제 사랑하려 하네](2008, 광주 국립5·18묘지 추모관), [오월의 서곡](2008, 광주시립미술관), [네오 웨이브전](2008, 서울 물파공간), [한겨울에 를 만나다](2008, 광주 신세계갤러리), [남도문화의 보고 지리산](2009, 광주 부산 신세계갤러리), [생태-지속 가능한 삶을 위하여](2009, 광주 신세계갤러리), [블루 닷 아시아](2009,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탐매](2009, 국립광주박물관), [김환기국제미술전 Pre-open](2010, 목포문화예술회관), [동이트다](2010,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분관), [추억과 예술을 꼴라주하다](2010, 광주 남구문예회관), [시간의 바깥](2011, 광주 시안갤러리), [대숲에 부는 바람-풍죽](2015, 국립광주박물관), [다산과 영랑을 품으며](2015, 강진아트홀), [아트바캉스-바람풍](2017, 광주 신세계갤러리), [노란 나비떼와 푸른 진실의 세월](2017, 담양 담빛예술창고), [경주 남산 신라의 보고](2017, 대구 신세계갤러리), [달하 노피곰](2017, 광주 롯데갤러리), [풍경사이](2018, 광주시립미술관 사진전시관), [광주의 추억](2018, 광주 예술공간 집), [대숲향 그윽한 별서정원-담양](2019, 광주 신세계갤러리), [윤재경 박일구 골목사진전](2019, 광주 동명동 골목), [직시, 역사와 대면하다]92020,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6), [또 다른 광주](2020, 광주 신세계갤러리), [흐르는 시간 그리고](2021, 광주 신세계갤러리), [풍경-](2021, 광주시립미술관 사진전시관), [소울푸드 아트페어](2021, 광주 호랑가시나무아트폴리곤), [신소장품전](2025,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와 근대정신](2025,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미술관) 등에 참여하였다.

    조선대학교, 광주대학교에 출강하였고, 광주광역시미술대전 운영위원 심사위원으로 참여했으며, 송은미술상(2008)을 수상하였다. 현재 한국미협, 한국사진학회, 다큐멘터리 온빛 회원 등의 회원이고, 포럼 디세뇨 대표이며, 사진공방 끼를 운영하고 있다.



    작가의 작품세계

    까만 암실 속 공기가 둔탁해질 때면 무작정 카메라 들쳐 메고 발걸음을 향하던 때, 사진가 브랏사이의 마법 같았던 밤의 파리에 매료되어 밤의 불빛을 찾아 바삐 셔터를 눌러대던 열정만큼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었던 청춘의 시절이었다. 1992년부터 근 3년간 작가의 두 눈은 광주의 구석구석을 훑고 지나갔다. 별다를 것 없는 풍경이지만 밤의 불빛 사이를 삐집고 드러낸 장면들엔 그때의 사진에 대한 열망과 소박한 삶의 정경들이 찬연하고도 고요하게 저장되었다. 현란하지도, 정돈되지도 않았고 멋진 기교도 없었지만, 그 순간 가장 순수했던 열정의 시선은 그 시간이 품은 공기를 통째로 들이켰다. 25년 즈음이 지나 다시 들춰낸 사진들엔 그 시간의 온기가 그대로 담겨있다. 다시 꺼낸 사진들에 묘한 설레임이 다가온다는 작가의 말처럼 순수의 시간을 저장한 장면들은 지난 시간의 기억들을 자연스레 소환한다. 사라졌지만 남겨진 삶의 안온한 순간들은 사진에 저장되었고, 다시 사진은 우리들의 마음을 두드린다.

    - 문희영 (예술공간 집 대표), 2018 박일구 사진개인전 소개글 중

     

    박일구는 사진을 찍을 때 항상 기록에 충실하려는 마음을 바탕으로 한다. 사진을 전공하기 전, 역사의 기록과 고증으로 단련된 시각을 갖는 사학도였기 때문에 그의 사진은 고밀도의 기록성이 배어 있다. 문화유산의 기록으로서 2005년 작업한 장승시리즈나 생활의 터전이 되어 온 들녘, 길 등 남도의 땅 사진 역시 대상의 객관성을 담보하는 다큐멘터리 작업이다. 그러나 그의 작업은 특이하게도 보여지는 풍광만 남는 것이 아닌, 그 길을 걷고 땅을 일군 손길과 온기가 머물러 있다. 남도를 사랑한 박일구는 시야를 무한히 넓힐 수 있는 바다로 나가면서 자연의 무궁한 요소들을 담기 시작했다. 바람, , 대기, 파동 등등, 우주에 떠 있는 지구의 경계를 객관화시키기 위해 작업 위치와 시간 설정 등 조리개를 열고 몇 날 며칠 지난한 작업을 했다. 그 결과 대기의 변조가 적당한 남해바다는 실경을 떠나 붉은 색, 녹색, 보라색 등의 깊이를 알 수 없는 추상의 세계로 바뀌고, 드러나는 윤곽은 하늘과 바다를 구분 짓는 아스라한 수평선만이 유일하다.

    - 황유정 (광주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연락처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62 (동계천로 163-3) 사진공방 끼

    062-227-2294 / 010-3608-5473

    ggephoto@hanmail.net

    박일구 <Circular railroad #038>,1993, Digital print, 150x150cm
    박일구 <Circular railroad #038>,1993, Digital print, 150x150cm

    박일구 &lt;정림사지 5층 석탑&gt;, 1996, gelatin silver print, 20x20cm
    박일구 <정림사지 5층 석탑>, 1996, gelatin silver print, 20x20cm

    박일구 <영암 쌍계사지 I>, 2000, 디지털 C-프린트, 124x165cm
    박일구 <영암 쌍계사지 I>, 2000, 디지털 C-프린트, 124x165cm

    박일구 &lt;통영 소매물도&gt;, 2006. digital c-print, 162x112cm,
    박일구 <통영 소매물도>, 2006. digital c-print, 162x112cm,

    박일구 &lt;With Sea - No.6&gt;, 2011, 45x30cm
    박일구 <With Sea - No.6>, 2011, 45x30cm

    박일구 &lt;With Sea - No.19&gt;, 2011, 121x90cm
    박일구 <With Sea - No.19>, 2011, 121x90cm

    박일구 &lt;대숲 서정&gt;, 2019, digital print, 25x25cm
    박일구 <대숲 서정>, 2019, digital print, 25x25cm

    박일구 &lt;고흥군 득량면 안남&gt;, 2020
    박일구 <고흥군 득량면 안남>, 2020

    박일구 &lt;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본관&gt;, 2025, digital print on photography paper, 77x103cm
    박일구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본관>, 2025, digital print on photography paper, 77x103c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5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