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공립미술관 평가결과 재정비 계기 삼아야 > 미술계 소식

본문 바로가기

미술계 소식

Home > 남도미술소식 > 미술계 소식
    미술계 소식

    광주‧전남 공립미술관 평가결과 재정비 계기 삼아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광주미연 (125.♡.119.200) 작성일21-02-23 20:30 조회1,818회 댓글0건

    본문

    광주시립미술관.20201017-1.jpg
    문화체육관광부 공립미술관 운영평가에서 인중 받은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전남 공립미술관 평가결과 재정비 계기 삼아야

    문화체육관광부 평가에서 9곳 중 4곳만 인증

     

    문화체육관광부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근거해 등록 3년이 지난 전국의 공립미술관 55개관을 평가한 결과가 222일자 보도자료를 통해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전국 평가대상 55개 공립미술관 중 인증을 받은 41곳이 공개되었다. 이 평가결과에 따르면 광주는 2곳 중 광주시립미술관만, 전남은 7곳 중 무안군오승우미술관, 영암군립하정웅미술관, 진도 남도전통미술관 등 3곳만이 인증을 받아 모두 9곳 중 4곳으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였다.

    전남 공립미술관은 경기도 9곳에 이어 제주와 같은 7개로 전국 두 번째로 많지만 제주는 7곳 모두 인증 받은 것과 달리 하위에서 전북 다음으로 저조해서 큰 대조를 보였다. 광주 북구 금봉미술관, 목포 노적봉예술공원미술관, 보성군립백민미술관, 함평군립미술관, 곡성 전남도립미술관 분관 등 비교적 역사가 있는 미술관들이 대거 탈락한 것은 되짚어 볼 문제다.

    이번 평가인증 결과는 지난해 하반기에 각 미술관별 관련 자료와 현장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평가인증심사위원회에서 종합적으로 심의하여 문체부 공식자료로 발표되었다. 평가기준을 보면 정량평가 58%, 정성평가 42%로 객관적 성과수치에 의한 정량평가가 다소 높은 편이다. 무엇이 평가의 기준이 되는지 범주와 지표를 살펴보면, 총점의 30%로 가장 높은 배점을 둔 전시개최 및 교육프로그램 실적에 기획과 운영의 전문성과 다양화 노력, 관람객 개발 등이 포함되고, 그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조직인력시설재정관리 적정성(25%)에 조직 및 인력관리, 시설관리, 재정관리 적정성이, 자료수집과 관리(20%)에 소장품 수집관리자료활용, 설립목적의 달성도(15%)에 목적부합 운영노력, 기관장 전문역량, 계획이해도 등이, 공적 책임(10%)으로 법적정책적 책임준수와 대외 상생협력 활성화 정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범주별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미술관들도 함께 발표했는데, 아쉽게도 광주전남은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문체부는 공립미술관 평가인증제는 미술관 운영 성과를 내실화하고 문화 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해 지난 2017년 시범 운영을 통해 2020년 처음 시작됐고 격년 시행을 원칙으로 한다. 특히 운영 전반을 평가하되, 운영 주체별(광역·기초), 미술관의 설립목적별(작가 중심 기관·지자체 대표 기관), 규모와 인력의 차이로 인해 미술관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규모와 성격에 관계없이 기관별 최근 3년간(2017~2019) 운영 개선 실적을 평가해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결과와 관련하여 3월에 공동연수회를 열어 공립미술관 관계자들과 평가 인증 결과를 공유하며 하반기에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관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지표별 미흡한 사례에 대해 상담할 계획이다.

    광주전남은 개관한지 햇수로는 벌써 30여 년 된 미술관도 있고,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공립미술관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 15개 광역자치단체 중 7곳이 100% 인증을 받은데 비해 광주 50%, 전남 42.8%로 평가받은 것은 예향 또는 문화도시를 내걸어 온 이 지역의 관련 기관이나 미술계로서는 부끄러운 성적표가 아닐 수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지자체에서 공립미술관을 열고서도 관장과 구성원 중에 전시교육문화행사 관련 전문가를 1명만 두어 미술관의 다양한 활동과 역할을 도맡기에는 역부족인 경우들이 많다. 지자체의 사정에 따라 미술관에 투여할 수 있는 인력과 재정의 한계들은 있겠으나 문화예술을 특화시켜 지역민의 문화향유는 물론 여행관광의 명소로 지역에 이득을 만들어내는 미술관들도 없지 않다. 특히 민영 미술관과 다른 지속성 있는 운영의 안정감과 행정적 연계망, 지역 문화정책과의 연동성 등의 이점을 적극적으로 살린다면 명맥만 유지하는 정도의 억지운영과는 다른 성과를 만들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공적 미술관 운영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의 객관적인 비교평가 결과인 만큼 주요 지표로 설정한 미술관 운영의 주요 방향에 대한 개선 보완의 시금석으로 삼아야 한다. 물론 여기에는 각 미술관의 노력과 의지가 우선되어야겠지만, 큰 틀의 방향과 목표를 이끌어 가는 지자체 차원의 인력과 재정, 사업운영 등에 관한 보다 전향적인 정책 전략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4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