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헌 허달재 회화의 직관과 관조 > 전시비평/리뷰

본문 바로가기

전시비평/리뷰

Home > 남도미술소식 > 전시비평/리뷰
    전시비평/리뷰

    직헌 허달재 회화의 직관과 관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인호 작성일22-03-15 10:53 조회2,384회 댓글0건

    본문

     

    허달재.백매.62x46cm.한지수묵담채.jpg
    허달재 <백매>, 2012, 한지에 수묵담채, 62x46cm

     

    직헌 허달재 회화의 직관과 관조

     

    직헌 허달재의 회화는 수묵화의 오랜 전통에 바탕을 둔 현대 문인화이다. 소재의 외형보다는 마음속에 비친 그 반향을 화폭에 펼쳐내니 담담한 함축과 그윽한 향취가 배어난다. 더러는 화사한 색이나 금빛을 바탕에 깔기도 하지만 감각적 화려함이나 기교적 붓놀이 대신 단색조 화면에 재해석한 사군자류나 포도송이들로 담먹의 마음점들을 풀어낼 뿐이다. 그것은 현대사회의 숨 가쁜 변화나 시각매체의 자극들과는 다른 고요와 사유가 깃든 심상 관조의 세계이다.

    (중략)

    이처럼 외적 형상이나 법식보다는 마음에 비치는 심상과 아취(雅趣)를 우선하는 사의화(似意畵)의 세계에서 지금의 허달재 화폭들은 어떤 독자성을 갖는 것일까? 현대미술이라 일컬어지는 감각적 채색과 먹의 변주, 개성 넘치는 운필묘법, 금도가 없어진 다양한 재료들의 표현효과, 주관적 변용에 따라 형상을 달리하는 화면구성들에서 그의 회화가 지키고 있는 일정한 자기범주는 무엇일까? 지역은 물론 국내·외의 활동영역에 경계가 없어진 현대미술에서 그만의 회화로서 존립할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일까?

    허달재의 회화는 소재를 자주 바꾸거나 이것저것 호기심으로 잡다하게 끌어들이지 않는다. 동어반복이 많다는 것이다. 꽤 긴 시간동안 매화, 포도, 아니면 연()과 난(), 모란, 다기(茶器) 등 몇 가지 화재를 되풀이하고 있다. 그 형상이나 묘법을 달리하는 것도 아니고 거의 비슷한 양식으로 거듭한다. 거기에 화사하지만 담담한 바탕색을 깔거나, 때로는 매화나 포도송이에 약간의 설채와 금빛을 곁들이기도 한다. 그렇다고 문기 함축을 위한 과도한 생략이나 상징적 간일화를 애써 의도하지도 않는다. 특정 소재나 형식에 집중되는 이 같은 경향은 그의 회화세계의 정형을 이루면서, 달리 보면 득의(得意)를 향한 집요한 구도적 천착일 수 있다.

    이런 몇 안 되는 소재들로 화폭구도나 공간연출에서 다양한 변주를 담아낸다. 아주 드물게 소략한 갈필의 초막이 어렴풋이 배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화폭 배경에 어떤 경물도 끌어들이지 않는 단색 평면이다. 그렇다고 그저 단순 냉담한 평면처리는 아니고 엷은 색을 수없이 우려낸 은근한 바탕이면서 넓은 붓자욱을 일렁임처럼 남겨놓기도 한다. 그 위에 펼쳐지는 매화나 포도송이들도 대부분 농담을 달리한 먹점들이거나 붉은 꽃점들, 또는 흰색의 단색 점들이다. 2차원의 화폭에서 단색조 평면은 관조자가 음미하는 여백의 시공간을 무한대로 열어준다. 거기에 흔한 도상을 차용해서 헐은 둥치의 고매와 새순 돋는 어린 가지를 짝지우지도 않는다. 그보다는 화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네모꼴로 나뭇가지를 두르기도 하고, 화면을 품어 안 듯 감싸는가 하면, 가지와 꽃이 화폭 전면에 고루 펼쳐지기도 한다. 심상을 우선하는 사의화이면서도 화면의 시각적 구성미를 함께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가 가장 즐겨하는 소재는 매화와 포도다. 그의 매화그림은 환희심을 일으킨다. 세파와도 같은 긴 겨울 끝에 마침내 새날을 여는 생명의 태동이자 세상에 터뜨려지는 희망의 기운이고 축복의 향기를 떠올려주기 때문이다. 절제된 수묵 흑백화도 그렇지만 연한 붉은 바탕에 홍매와 백매가 너울너울 춤추듯 짝을 이뤄 구불거리며 오르기도 한다. 그런 환희심과 향기로운 기운을 화면 가득 채워내기 위해 나무나 꽃잎의 세세한 묘사는 생략한다. 풍요와 다복을 상징하는 포도에서는 점점이 과실알갱이들의 화음과 더불어 농담을 달리하며 널직널직 받쳐주는 포도잎들이 풍성하다. 터지는 반점들과도 같은 매화그림에 비하면 포도그림은 담먹의 바림이나 선염으로 훨씬 넉넉하고 더러는 거기에 엷은 채색을 가미시켜 생기를 돋우기도 한다.

    허달재의 화훼도는 그만의 독특한 소재해석을 보인다. () 그림들은 일반적인 묵연(墨蓮)이나 채색연화들과 달리 대부분 파먹(破墨)처럼 갈라진 붉은 꽃잎과 담먹 이파리 처리가 이채롭다. 실재하는 형상의 재현에 매이기보다는 연꽃의 청정 고아한 자태는 취하되 해의반박(解衣槃礴)의 무심한 운필을 풀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담담한 필선의 줄기들이 화면포치의 맥을 잡아주기는 하지만 성글게 풀어헤쳐진 꽃송이나 연잎들이 연()이라는 본래 형상을 떠나 엷은 먹과 붉은 꽃잎들의 조화로운 군무를 펼쳐낸다. 꽃의 본래형상을 풀어버리는 이 같은 화법은 채색을 더한 모란 그림에서도 마찬가지다. 만개한 넓은 꽃송이들을 절제된 색조로 강약을 두어 풀어헤치고 연푸른 이파리들을 바탕문양처럼 가득 깔아 고양된 흥취를 터뜨려내면서도 그윽한 화격을 우려낸다.

    그가 취하고자 하는 필묵의 정신성은 성외성’(聲外聲) 연작에서도 잘 나타난다. 허허로운 공간에 바람결에 날리는 꽃잎들처럼 점점이 흩뿌려낸 필촉들은 사의화(似意畵)이면서 형상을 벗어난 추상회화라 할만하다. 소리 너머의 소리, 소리 없는 소리에 귀 기울이며 직관과 관조로 대상의 본질에 다가서고 이를 자기내면과 통하고자 하는 마음자리를 그림으로 풀어낸 것이다.

    (중략)

    화훼류의 화재들 외에 종종 즐기는 다기그림들은 허달재의 작화태도를 잘 보여주는 예다. ‘문향’(聞香)연작은 기물로서 찻잔이나 차 한 모금보다는 심신을 이완시켜 마음의 여백을 넓혀주는 차향을 비정형 드로잉처럼 풀어낸 연작들이다. 음다(吟茶)의 본체인 정신을 맑히는 은은한 차향을 따라 마음 가는대로 투박한 분청사기 다완에 귀얄이 훑고 지나가듯 다구라는 모양새 정도를 드러낼 뿐이다. 표정도 형체도 각기 달리 풀어지는 이들 다기그림들은 전시연출에 따라 넓게 무리를 이루기도 하고 공간배치의 틀을 깨트리기도 한다.

    그는 작가노트에서 인간이란 순간적 존재이기에 영원을 의구(意求)하며, 현실보다는 내재적 사의(寫意)로 미의 무한함을 순간적인 삶과 종합하고자 한다. 필묵을 빌어 무형(無形)을 밝히는 동시에 나 자신이 항상 표현하고자 했던 미와 맛과 멋 등 가슴 속에 간직한 정신을 나타내고자 함이다. 차 한잔을 마시는 여유로움 속에서 청정한 마음으로 붓을 움직이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번잡스런 세상사에, 정신을 현혹당할 수도 있는 외적 현상이나 오색오음에, 시각적 묘미에 자족하는 그림에 마음을 뺏기기보다는 순수 직관과 그윽한 관조로 심신의 여백을 음미하고자 함일 것이다. 또한, 옛 그림과 현대회화, 은근한 수묵과 산뜻한 채색, 심미적 화취(畫趣)와 대중적 감각, 심상과 현상 사이를 연결 지어 화폭도 정신도 경계 없는 시공간에서 자유로움을 누리고 싶은 것일 수도 있다. 어려서부터 전통산수나 남종문인화 등을 익혔지만 그에 매이지 않는 자신만의 회화세계를 찾아가는 정진과정에서 취하게 된 태도일 것이다. 특히 마음으로 살아라는 의미로 직헌’(直軒)이라 호를 지어주셨다는 조부의 뜻을 따라 내적 정신성과 필묵의 회화성을 조화시킨 묵향과 화격을 현대미술의 무풍지대 속에 오롯이 펼쳐내려는 것으로 보인다.

    - 조인호 (광주미술문화연구소 대표) / 월간 PUBLIC ART, 20223월호 게재글 중   

    허달재-2.jpg
    허달재 <백매>, 2020. 한지에 수묵담채, 160x209cm, 95x133cm
    허달재-1.jpg
    허달재 <백매>, 2016, 145x217cm, <홍백매>, 2020, 132x169cm, 한지에 수묵채색금니
    허달재-3.jpg
    허달재 <성외성 聲外聲>, 2000, 한지에 수묵, 135x174cm / <백매>, 2020, 한지에 수묵담채, 160x209cm
    허달재.묵화6폭일지병풍.2014.270x137cm.jpg
    허달재 <묵화6폭일지병풍>, 2014, 한지에 수묵, 270x137cm

     

    허달재회화세계-조인호.퍼블릭아트.2022.03월호-1.jpg
    [퍼블릭아트] 2022년 3월호에 실린 허달재 회화세계 일부, 조인호 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Copyright 2024 광주미술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이미지들은 게시자와 협의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