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사적 폐공간에 불어넣은 치유 소생의 기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인호 작성일21-04-28 14:09 조회2,087회 댓글0건 관련링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본문 옛 국군광주병원 폐공간에 펼쳐진 제13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MaytoDay' 전시 중 부분 5‧18 사적 폐공간에 불어넣은 치유 소생의 기운 제13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MaytoDay’ 2021.04.01-05.09 / 옛 국군광주병원 옛 국군광주병원 폐공간에서 제13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MaytoDay’가 전시 중이다. 5‧18민주화운동 당시의 역사현장이기도 한 이 곳은 2007년 병원이 함평으로 이전해 간 뒤 14년 동안 폐쇄되어 잡풀들만 무성하고 출입문이며 유리창, 천장재 등등이 깨치고 떨어지고 어긋난 채 방치되어 있었다. 2018년 광주비엔날레 ‘GB커미션’을 통해 그 긴 적막이 처음 깨졌었고, 세간에 노출된 뒤에도 사적지 활용방안이 결정되지 않아 같은 상황에 놓여 있다. ‘볼 수 있는 것과 말할 수 있는 것 사이’. 40년 전 광주 5‧18을 현재 시점과 그 현장에서 새롭게 공명을 울리고자 하는 제13회 광주비엔날레의 특별전 제목이다. ‘MaytoDay’는 지난해 서울, 타이베이, 퀼른 등지를 비롯,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무각사 로터스갤러리에서 열렸었다. 이번 전시는 그 연장선에 있는 2021년 광주 버전이다. 전시기획은 오월유가족이기도 한 이선 큐레이터(이강하미술관)와 임수영(독립큐레이터)이 함께 맡았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것과, 보이지만 애써 외면하려 했던 것, 말할 수 있는 것과, 차마 소리 내어 말하지 못한 침묵 사이의 연결성에 주목”하면서, “5‧18의 역사와 기억, 아픔과 치유, 폭력과 저항이 공존하는 장소이자 의료공간인 옛 국군병원이 애도나 치유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주인공이자 배경이 되기도 하며 사유의 소재가 되도록” 꾸몄다고 한다. 대부분 폐공간의 현 상태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그런 특별한 공간조건 그대로 작품들을 배치 전시하고 있다. 질곡의 이 땅 역사와 강건한 민초들의 삶을 독자적인 민중미술 재해석 방식으로 그려온 송필용은 <땅의 역사-붉은 정화수>(1987)와 <땅의 역사-오월의 역사>(2016~19)를, 민화와 불화 등 전통회화에서 현실주의 회화형식을 탐구해낸 임남진은 <황연>(2009)과 <무기력>(2017)과 <든자리 난자리>(2019)를, 분단상황과 광주 오월의 상처를 추상적 함축으로 담아온 강운은 <마음산책-망자를 위한 진혼시>와 <흔적>(2021) 등을, 서정과 서사가 녹아든 유려한 붓질과 색채로 리얼리즘 회화를 펼쳐 온 정선휘는 20여년 전의 <삶속에서-기다리는 사람들>과 <잊혀진 풍경>(2001)을 낡은 폐공간들에서 다시 보여준다. 이들과 세대를 달리하는 정정주는 병원의 전체 외관을 조망할 수 있는 미니어처구조물과 그 안팎을 실시간 연결하는 영상의 <국군광주병원>(2019)을, 이세현은 오월 관련 사진들과 병원 안팎 이미지들을 깨진 유리창 주변에 붙인 <에피소드-터전을 불태우다>(2021)를, 문선희는 그동안의 사진작업과는 전혀 다르게 오월 당시 이곳에서 회복중이거나 입원치료 중이었던 병사들을 대신한 데이지꽃 화분들로 대신하고 거기에 5‧18 당시 초등생들의 기억을 지금 초등생들 목소리로 들려주는 꽃길설치 <묻고 묻지 못한 이야기-목소리>(2021)을, 이인성은 자아와 기억과 관계의 상징이기도 한 주황색 공들과 게임테이블과 유령 같은 실루엣으로 입체설치를 꾸민 <플레이어>(2020)와 <그라운드>(2021) 등을, 김설아는 그만의 독특한 회화적 어법과 함께 수많은 생명들이 수혈 수액 호스들에 목숨을 의탁하거나 사라지기도 했던 생사의 현장을 담은 <불면의 기억>(2021)을 설치해 놓았다. 또한, 이연숙은 시간이 흐를수록 갈라지고 터서 벗겨지는 하얀 바닥칠 위에 녹슨 공구들과 폐기될 주물거푸집 등을 펼쳐 놓은 <아무도 모르는 일 0518>(2020)을, 최기창은 명화의 이미지가 수없이 분절되고 그 틈새로 부식과 균열이 일어나는 <피에타>(2020)와 폐기물과 먼지만이 남은 공간에 희망을 불어넣는 <레인보우 장면>(2020) 화폭들을, 박화연은 상실과 재생을 거듭하는 보일 듯 보이지 않는 존재로서 재를 어둠 속 바람결을 담아 기억과 현재를 연결하는 <재-생 연작; 애도의 확산>(2021) 영상을 들여놓았다. 이 전시는 예전에 발표된 작품이더라도 장소와 공간을 달리해서 현장성을 높이는 새로운 접속을 선보인다는 점과, 예전에 회화나 사진이 주된 작업이던 작가들이 그와는 전혀 달리 입체나 설치로 사적 현장을 보다 깊이 있게 교감해내려 한 점 등이 부각된다. 광주의 오월이나 역사와 삶의 상처, 트라우마를 공동체의 연대로 극복하고 치유하려는 지금의 노력들이 이들 청년‧중견작가들의 작업으로 대변되면서 폐공간에 생명을 수혈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특별전 ‘MaytoDay’는 말 그대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 전시는 5월 9일에 끝나지만 진행형 기획인 ‘MaytoDay’는 2020년 코로나19로 취소된 베니스 전시를 올해 베니스건축비엔날레 기간에 이탈리아관 일부를 활용하여 다시 시도되고, 이후로도 2022년까지 아르헨티나 등을 돌며 각기 다른 버전으로 진행될 예정이라 한다. - 조인호 (광주미술문화연구소 대표) 송필용 <땅의 역사-붉은 정화수>, 1987 정선휘 <삶속에서-기다리는사람들>, <잊혀진 풍경>, 2001 강운 <마음산책-망자를 위한 진혼시>, 2021 임남진 <든자리 난자리>, 2019, <무기력>, 2017 이인성 <플레이어>, 2020, <그라운드>, 2021 이세현 <에피소드; 터전을 불태우다>, 2021 문선희 <묻고 묻지 못한 이야기-목소리>, 2021 김설아 <불면의 기억>, 2021 정정주 <(구)국군광주병원>, 2019 박화연 <재-생 연작; 애도의 확산>, 2021 최기창 <레인보우 장면.>, 2021 이연숙 <아무도 모르는 일>, 20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